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수요일
수요일

아프리카나 남미쪽은 왜 못사는사람들이

아프리카나 남미쪽은 왜 못사는 나라들이 많은지 궁금합니다. 지하자원도 그렇게많다고 하는데.왜 그걸활용하지못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석유의 저주라고도 불리우는데 석유라는 풍부한 자원이 있다보니 굳이 열심히 개발하지 않아도

      국가가 먹고사는 것에 전혀 지장이 없었습니다

    • 유동성도 충분히 공급되고 석유는 꾸준히 팔리는 자원이기에 파티를 즐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쉐일혁명이후에 석유 가격은 OPEC의 입김이 줄어들었고 그 위상도 함께 줄어들면서

      석유자원을 바탕으로 영위하는 국가들이 위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아프리카와 남미의 많은 나라들이 부유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빈곤한 주요 이유는 자원의 관리 부실, 부패, 경제적 의존성 때문입니다.

    많은 국가들이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어 자원 개발과 수익화 과정에서 비효율성과 기술 부족이 발생하며, 이는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부패와 불평등으로 인해 자원에서 발생하는 수익이 일부 계층에게만 집중되어 사회 전반에 걸쳐 혜택이 고르게 분배되지 않는 것도 큰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아프리카나 남미에선 못사는 나라들이 많은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풍부한 자원이 있어도 정치권 혹은 지도자들이 썩었고 무능하였기 때문에

    지금도 여전히 가난을 벗어나지 못한 나라들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아프리카나 남미나 공통적으로 못사는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지 않을가 싶네요

    기본적으로 자원은 많지만 국가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간산업이 둘다 없죠 그리고 정치인들은 부패했고 아프리카는 내전이 많아서 정세 자체가 너무 복잡하죠 그러니 국민성도 낮습니다 자원을 활용하고 싶어도 활용할 여건이 안되는거죠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정치가 불안정하고 내전과 지역간의 갈등이 매우 심한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그리고 토지와 자산에 대한 소유권과 자본화가 안되어 있는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아프리카의 국가를 보면 지금도 내전인 국가가많고 내전이 없더라도 얼마전에 끝나거나 하나로의 통합사회가 아닌 부족사회의식과 이로인한 지역이나 부족간의 갈등으로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이로인하여 서구권의 자본투자가 유입되기 어려운 환경이며 이런 불안정으로 인프라투자로 국가의.자본이 투자되는게 아니라 내전과 전쟁으로 쓰이게 되며 이로인한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교육도 부족하니 첨단산업이나 일반적인 의식이 부족하여 생산성도 매우 떨어지는게 이유입니다.

    그리고 아프리카국가들은 다른 국가들과 달리 토지나 자산에 대한 소유권도 명확하지 않고 이를 증명하기 위한 정부에서 확립된 규칙도 미미하며 이런 자산을 자본화하여 투자가 가능한 환경으로 외부자본이 유입되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국민 대다수가 당장 오늘 먹고 사는 것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연스럽게 정치가 부패하고, 이렇게 부패한 정치인들은 그냥 자기 자신이 잘 사는 것에만 관심이 있어서 대부분이 빈국인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국가들은 우선 정치적으로 상당히 불안정한 국가 입니다.

    그래서 경제발전이 더디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일부 남미국가는 전세계 4대 부국에도 들어갔었는데 포퓰리즘 정책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실패하여 위기를 극복 못하는 것 같습니다.

  • 아프리카와 남미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유는 정치적 불안정성과 부패, 인프라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결부되어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지하자원등 자연자원은 풍부하지만 자원을 관리하고 개발하는 능력이 없어서 결국 그 자원도 외국기업이 와서 개발해야하는데 그과정에서 많은 경제적 손실이 생깁니다. 물론 이득이기는 하지만 스스로 해내는 것보다 훨씬 손해입니다. 여기서 나오는 수익으로 발전을 하면 좋지만 부정부패와 포퓰리즘으로 소모되버립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아프리카와 남미 지역의 많은 국가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역사적인 배경을 보면, 이들 지역은 과거에 식민지 지배를 받으며 자원의 착취와 경제 구조의 왜곡을 경험했습니다. 이로 인해 자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자국민보다는 외부 세력이 이익을 더 많이 취한 경우가 많았으며, 독립 이후에도 경제 구조가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정치적 불안정성과 부패가 경제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어왔습니다. 많은 아프리카와 남미 국가들은 정치적 불안정과 정권 교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혼란, 그리고 정부 내 부패 문제로 인해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외국 자본이 들어오기를 꺼리게 만들며, 내수 경제 활성화에도 어려움을 겪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 인프라 부족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지식,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인프라가 필요하지만, 이들 지역에서는 교육 시스템이 취약하고, 교통, 통신 등 기본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이유로 아프리카와 남미 지역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남미나 아프리카와 같은 경우에는

    민족간의 분열도 있고 그리고 더불어서

    정치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는 등 이에 따라서

    후진국 등이 많은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아프리카와 남미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 때문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정치적 불안정성과 부패가 있습니다. 많은 나라들이 정치적 혼란이나 부패 문제로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경제 발전을 저해합니다. 사회적 문제로는 교육과 건강 관리 부족, 빈곤, 범죄율 등이 있으며, 이들 문제는 경제적 기회를 제한하고 생산성을 낮춥니다.

    또한, 비록 지하자원이 풍부하지만, 자원 관리와 개발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자원 수익이 지역 사회에 제대로 환원되지 않거나 외국 기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적 구조도 자원 의존적이며, 국제 시장의 변동에 민감해 자원 가격의 하락 등 외부 요인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역사적으로 식민지 시대의 유산과 불균형한 개발, 외부 경제적 압박 등도 현재 경제 상황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아프리카와 남미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만드는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아프리카와 남미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첫째, 정치적 불안정성과 부패가 심각합니다. 정부의 부패와 비효율적인 정책은 자원의 올바른 관리와 분배를 방해합니다. 둘째, 역사적 배경이 있습니다. 식민지 시대의 유산이 여전히 경제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셋째, 인프라 부족과 교육 수준이 낮아 자원 개발과 활용이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국제 시장의 변동성과 자원 의존 경제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남미와 아프리카 등는 상대적으로 지정학적, 환경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기후가 열대 기후여서 제조환경이 부적합하고, 과거부터 유럽 열라들로부터 식민지배를 받아 국가 기반 마련이 어려웠습니다. 또한 주요 산업인 1차산업 농업이 환경적으로 어려워 생존부터 위협받기 때문에 그 이후의 성장은 꿈도 꾸기 어려운 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