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반가운말똥구리56
반가운말똥구리5622.10.13

소나무가 사시사철 푸를 수 있는 이유는?

가을이 오고 겨울이 올텐데요. 벌써 많은 나무들이 단풍이 들고 떨어지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소나무는 변함 없이 푸르고 잎도 떨어지지 않고 있던데요. 다른 나무들과 다르게 소나무만 유일하게 이럴 수 있는 이유가 있나요? 잎의 색도 변함도 없고 떨어지지도 않으니 마치 살아있는 것 같지가 않고 조형물 같아서 신기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13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계절 푸른 잎을 유지하고 있는 나무를 상록수라 합니다. 상록수는 나뭇잎을 구성하고 세포들이 매우 농도가 짙습니다. 그리고 추운날에도 광합성을 할수 있어 엽록소가 지속적으로 생성됩니다. 하여 사계절 모두 푸른색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 소나무는 늘푸른나무에 속하는 대표적인 나무입니다. 사계절 내내 같은 모습인 것은 소나무 잎은 지방질이 많이 들어있어 추운 겨울도 잘 견디고 더욱이 찬 기운이 드나드는 기공 주변은 세포벽이 두껍고 바깥이 두꺼운 왁스로 덮여있어 물의 증발을 막아주기 때문에 추운 겨울도 잘 견딜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나무나 다른 나무가 겨울을 나는 방법은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 하며, 당분 등을 합성해 세포로 보내고 세포 내 수분이 어는점을 낮추며 겨울을 보냅니다. 침엽수(소나무처럼 잎이 얇고 뾰족한 나무들)의 경우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엽록소가 파괴되지 않고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침엽수의 수관(물의 통로)은 얇아 물이 잘 얼지 않으며 설령 얼더라도 조직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잎의 색 변화가 잘 없으며 겨울을 버틸 수 있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소나무에 들어있는 송진이라는 액체 때문에 소나무가 항상 푸르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송진은 매우 끈적끈적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도 잘 얼지 않아

    소나무에 큰 변화를 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소나무의 잎이 매우 뾰족하여 수분이 잘 증발하지 않아 추운 계절에도 영향을 잘 받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