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

연주시차는 언제 이용되는 건가요?

별을 관찰할 때, 연주시차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연주시차는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며 왜 필요한 것인가요?

연주시차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별과 별 사이의 거리를 잴 때 연주시차를 이용합니다.

    연주시차법은 삼각함수의 원리를 이용하며, 특정 점 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1월에 보이는 별과 7월에 보이는 동일한 별을 바라보는 각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주시차는 지구가 공전함에 따라 위치가 변해 생기는 시차입니다. 그래서 1년동안 별을 관측하고 거기서 6개월 사이 동안 바뀐 시차를 연주시차라 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지구가 현재 위치에서 바라본 별의 시선방향과 6개월 뒤 공전으로 인해 바뀐 지구의 위치에서 본 시선방향이랑 달라지겠죠? 물론 거리가 너무 멀면 시선방향의 차이도 거의 없을 겁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1월에 별을 측정하고 반년 후인 7월에 같은 별을 측정합니다.

    이때 지구의 위치가 태양을 가운데 두고 정반대로 바뀌게 되기때문에다. 우리는 지구와 태양 간의 거리(1AU:1억 4960만㎞)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기하학적으로 가늠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시차는 관측하는 사람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한 물체(별)를 바라보았을 때 먼 별에서 벌어진 각도 차이를 말합니다.

    참고로 연주시차 0.01초이면 326광년이고, 0.1초면 32.6광년, 1초면 3.26광년이 된다. 이와 같이 광년의 단위도 별까지 거리가 멀어지면 숫자가 매우 커지므로 연주시차가 1일 때 1파섹으로 설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