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더본코리아의 주가가 오늘 상승세로 마감했던데 오너 리스크는 모든 주식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가요?

최근 더본코리아에 대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이슈화 되고 있고

법적으로 문제되는 부분들도 있다는 기사를 봤는데

보통 주식 시장에서 오너들의 문제들이 곧 주가로 반영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더본 코리아는 오늘 상승세로 마감을 했더군요

더본 코리아의 리스크는 이제 소멸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맞는 건가요?

그리고 어떤 산업인지에 따라 오너 리스크도 다르게 적용되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더본코리아의 주가가 오늘 상승 마감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더본코리아의 오늘 종가는 리스크가 사라져서 올랐다기 보다는

    너무 빠져서 그에 대한 데드켓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현재 더본코리아는 오너 리스크가 사라졌다고 보기에도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더본코리아는 일단 백종원 대표가 더 안좋은 결과로 가는 것이 아닌 단순 형사 입건으로 끝난 것을 오히려 낫다고 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주가가 오른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오너리스크는 이미 그동안 하락해오면서 반영된것이며 추세적으로 지속 상승추세를 이어갈지는 결국 더본코리아의 매출이 증가되고 글로벌 사업에서 의미있는 성과나 더본몰에서 매출성장률이 뛰어난 모습을 보인다거나 빽다방에 의존되는 재무구조에서 탈피되어 다른 사업부에서 성장률이 돋보이는 모습이 나와야 본질적으로 주가가 오를수밖에 없습니다.

    상대적으로 더본코리아가 최근에 큰 타격을 받았던것은 최종소비재였으며 마케팅도 백종원대표의 크게 역할을 구조였다는 점입니다. 즉 백종원대표의 이미지 추락은 더본코리아의 향후 매출에 있어서 직접적인 타격을 받기 때문에 이런 우려가 컸던것이며 이런 리스크는 기업마다 산업마다 다르게 봐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의 경우에 악재가 겹겹히 쌓이고 경제상황 악화에 외식이 안 좋은데 약간의 억지로 기관투자자들이 버티는 것과 사주는 개인투자자들이 없기 때문에 계속 횡보 유지하고 있습니다.

    보통 3개월 , 6개월, 12개월 , 그 이상으로 기관투자자들이 주식을 사들이며 기간이 길수록 많이 살 수 있는데요. 보통 가치주라고 하면 12개월이 비중을 많이 두고 많이 사려하죠.

    그러나 더본코리아의 경우 3개월, 6개월의 비중이 높은 상태이며

    이렇다는 얘기는 현재 3개월제한인 기관투자자들은 이미 빠져나간 상태이고

    6개월제한이 남아있다는 것인데 현재 기관투자자들이 이 이상 빠지게되면 큰 손실을 보게되므로

    조금씩 담아서 한번 크게 올린 뒤 다시 빼는 일반적인 전략으로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더본코리아의 주가는 어제 오늘 약 반등이 나왔지만 여전히 하락 추세입니다.

    추세가 상승으로 바뀌려면 적어도 장기 이평선들이 정배열이 되거나 단기선과 장기선의 크로스 정도는 있어줘야 반전되었다고 얘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상승이 상한가 수준도 아니고 1%대는 상승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이정도는 하락장에서도 하루 이틀 나와주는 수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더본코리아 주가의 하락세가 멈춰선 이유는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품질과 원산지 등 각종 논란에 대해 사과를 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리스크가 완전 소멸됐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