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초등학교에서 역사에 대해 가르치나요?

요즘 젊은 세대들이 한국 역사에대해 잘 몰라서 걱정시라는 뉴스를 본적이 있습니다 초등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나요?몇학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3학년 때 선사시대를 다루고 있으며, 본격적인 역사는 5학년 2학기에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역사는 아이들 중 좋아하는 아이들과 싫어하는 아이들이 뚜렷히 구분되는 과목입니다. 5학년 역사 수업을 해보면 어떤 아이들은 사회 시간만 기다릴 정도로 역사 수업을 좋아하지만, 어떤 아이들은 사회 시간을 너무 지루하고 힘든 시간으로 생각하기도 합니다. 이런 차이는 어디에서 올까요? 사회 교과는 나선형 교육과정을 취하고 있습니다. 나선형 교육과정이란 기본 개념이 반복적으로 나오면서 점진적으로 심화되는 교육과정을 말합니다. 즉, 초등에서 역사의 큰 줄거리를 대략적으로 배우고, 같은 내용을 중학교에서 좀 더 자세하게 배우며, 고등학교에서는 더 자세하게 배우면서 계속 반복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므로 초등에서는 역사의 큰 줄거리만을 간략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어른들이 보기엔 주요 사건만 다루고 있기에 쉽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배경지식이 부족한 아이들 입장에선 오히려 너무 간략한 교과서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5,6학년에서 한국사를 가르칩니다~~한국사 전체를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가르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역사수업은 사회과목의 일환으로 3학년 때부터 시작합니다.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보다는 일반적인 한국 전통문화, 주요 역사적 인물, 역사적 배경등에 대해서 배웁니다.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에서는 3학년부터 역사 교육이 시작됩니다. 주로 한국사의 기본적인 내용과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다룹니다. 통사나 인물 위주로 배운다고 보시면 되세요. 초등학교 3학년부터 배경을 다지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점 더 깊이 있는 내용으로 진행됩니다. 본격적인 역사는 중학교부터 시작되지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요즘은 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칩니다. 각 지역과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4학년부터 한국사를, 5학년은 지리, 세계사를 배우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역사는 초등학교 5학년 2학기부터 6학년 1학기에 걸쳐 배우고 있으며 전 범위를 다루는 대신, 중요한 사건과 인물 위주로 아이들의 역사적 상상력과 기초적인 지식을 배울 수 있게끔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현행 교육과정에서 역사는 정규 수업에서 5학년 사회 교육과정에 편성이 되어 있습니다. 고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사까지 집중적으로 배우고 최근까지의 역사까지도 교과서에 실려 있습니다. 일본과 중국의 역사 왜곡에 맞서서 초등학교에서도 많은 선생님들께서 아이들의 수준에 맞게 실제적인 역사적 사료들을 통해서 아이들의 역사적 지식과 관점을 바로잡아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