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사랑03
사랑0323.05.23

멀리 보는 것과 시력의 상관관계

멀리 보는 것과 시력의 상관 관계가 궁금합니다.


태국의 모겐족, 티베트 유목민, 몽골 유목민 등은

세계에서 시력이 가장 좋기로 유명하다는데요,

생활 환경도 그렇고 멀리 보는 습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 같은데,


멀리 보는 것과 시력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멀리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 눈은 해당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수직으로 집중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눈의 굴절력이 필요하며, 굴절력이 높을수록 멀리 있는 물체를 더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높은 굴절력을 갖는 눈을 가진 사람은 멀리 있는 물체를 더 잘 볼 수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평소 멀리보는 시야가 많다면 이 굴절력이 향상 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리 있는 먼 대상을 자주 보는 것은 눈의 조절 능력과 근시 및 저시력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멀리 있는 대상을 자주 바라보며 눈을 조절하는 데에는 눈의 근육들이 작동하고 눈의 초점을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이로 인해 눈의 조절 능력이 발달하고 근시나 저시력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력이 나빠지는 이유는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 등이 있으나 보통은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굴절이 수정체의 모양 변화나 수정체가 두꺼워졌다거나 하여 상의 초점이 한 곳에 모이지 않고 여러 곳에 맺히거나 한 곳에 잘 맺히지 않는 등등 여러가지 원인 등이 있을 수 있겠으나 대부분은 근거리작업을 지속적으로 하게 될 경우 망막의 길이가 길어져 상이 망막 앞에 맺혀 흐리게 보이는 등의 굴절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난시는 보통의 사람들에게 약간의 난시가 있는 편이며 눈의 초점이 한 곳이 아닌 둘 또는 여러 곳에 맺히는 현상을 말합니다.



    근시는 후천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성장과정에서 안구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며 초점이 망막보다 앞쪽에 맺혀 먼 사물이 잘 보이는 않는 굴절 이상 증세를 말하며 원시는 보통 노화에 의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초점이 망막보다 뒤쪽에 맺히게 되면서 가까운 것이 잘 안보이는 현상으로 보통 노안증세가 이에 해당됩니다.



    근시는 TV와 스마트폰, 장시간 모니터 사용과 같이 주변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노화에 따른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원시에 비해 근시가 보다 더 잘 생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몽골인의 시력은 평균 3.0이라고 알려졌을 정도로 좋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를 어렸을 때부터 멀리 보는 훈련과 생활을 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양 떼 같은 가축과 이들을 해치려는 늑대를 살펴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를 출산할 때 21일간 어두운 방을 고집하는 몽골인의 전통도 좋은 시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리 있는 것을 보기 위해서는 동공과 수정체가 중요한데 우리는 가까이 있는 것을 보다보니 근육이 가까이 있는 것을 보도록 발달했습니다. 반면에 몽골이나 티베트 같은 경우는 항상 모든 먼 곳을 보기 때문에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은 동공과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이 먼곳을 바라 볼 수 있도록 발달하게 됩니다. 즉 우리도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먼 곳을 보면서 눈의 동공과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을 훈련시키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리 보는 것.

    사람의 시력은 좋아지진 않습니다. 이는 의학적으로 증며된 사실이고요. 안좋아지는 속도를 늦출수 있을 뿐입니다. 말씀하시는 방법은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방법중에 한개입니다. 도움이 되는 방법은 맞습니다만 시력이 좋아지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