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전국민 25만원 지급시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더 부추기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아까 뉴스 속보로 전국민에게 25만원 지급을 결정했다는 걸 봤는데요

현재 물가로 인해 금리도 계속 동결하고 있는데... 이렇게 전국민에게 돈을 뿌리면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전국민 25만원 지급 정책은 국민들로 하여금 물가 상승을 예상하게 만들 수 있는데요. 인플레이션 심리는 실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가 상승이 예상되면 소비자들은 더 빨리 돈을 쓰려는 경향이 있어, 다시 수요를 증가시키고 가격상승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일 전국민 25만원 법이 법사위를 통과했는데요.

    아무래도 발의 주체가 야당인 만큼 여당과 시각이 전혀 다른 것 같습니다.

    여당은 나라빚이 증가하는 포퓰리즘 이라고 보는 반면에,

    야당은 불황에 오히려 단비라고 생각하는데요.

    뭐가 옳은지는 후손들이 판단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이슈입니다.

    • 다만 전과 다르게 인플레 자극이 적을 수 있는 것은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로 지급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 만약 현금으로 지원하면 이 현금이 증권이나 코인시장인 금융시장에 흘러들어 가면서

      유동성 자극을 줄 수 있었다면 지금의 지역화폐는 지역의 소비로 활용되며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덜 수 있을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전국민 25만원 지급시 사실상 겉으로 보여지는 소비증가로 단기간 GDP상승만 하기위한 일시방편입니다.

    대다수 25만원을 받으면 그것을 본래 의도대로 사용보다는 빚갚고 임대료 내는데 대부분 사용할 것이라 보기에

    민생안전 대책이라 보기 어렵고 오히려 시중에 돈이 풀리니 인플레이션만 가중될 것으로 내다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질문자님께서 우려하시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이 엄청난 인플레이션 파장을 불러오는 것은 아니겠지만 이러한 정치인들의 인기얻기용 퍼주기 정책이 하나둘씩 늘면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다음세대에게는 부채만을 안기게 됩니다.

  • 전국민 25만원씩 주면 물가상승을 더욱 자극하는건 진리입니다 그래서 정부랑 여당은 선별적 지급이나 차라리 다른곳에 투입하자이고 야당은 전국민 25만원 지급해도 물가상승은 일시적이니 지급하자 마인드죠 거대야당이니 지급하는 쪽으로 갈거 같기는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전 국민에게 25만원을 지급하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가적인 현금 유입은 소비를 늘려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미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조치는 다시 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전국민에게 25만원을 지급하게 되면 인플레이션을 더 부추기는 것 아닌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견 그렇게 보실 수 있고 또한 틀린 말도 아닙니다.

    다만, 현재 한국의 내수 상황을 보면 이런 마중물이 있어야지

    돈이 시중에 돌기 때문에 경제가 굴러가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전국민에게 25만원을 지급하는 정책은 인플레이션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할 때, 몇 가지 우려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첫째, 유동성 증가로 인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물가 상승 압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둘째, 사람들이 추가적인 현금을 소비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져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셋째, 임금 상승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기업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 이는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이 정책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첫째, 단기적으로 소비를 촉진하여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서민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둘째, 소비 증가가 생산 증가로 이어져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국민 25만원 지급 정책의 효과는 경기 상황, 기존 물가 상승률, 정부의 다른 경제 정책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단정하기는 어렵고, 다양한 변수와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전국민에게 25만 원을 지급하는 정책은 재난지원금이나 보편적 기본소득 등의 형태로 정부가 국민에게 직접 현금을 제공하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정책은 여러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소비 증가: 국민에게 현금을 지급하면 소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공급이 따라가지 못할 경우,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통화량 증가: 정부가 돈을 발행하여 이를 국민에게 지급하면 통화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통화량이 늘어나는 것은 일반적으로 화폐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이는 물가 상승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소득 불균형 해소: 전국민 지급은 특히 저소득층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쳐 소비 여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저소득층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가격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시장 기대: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면, 실제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미리 올리는 등의 행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