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쟤가 3조2교대 근무 야간4일 근무 했는데 잠이 안와요..
5월31~6월3일 4일근무 야간 근무를 해서
저녁19:00~새벽4시10분에 마쳤는데 집에 도착 하면
잠도 안오고...그래요.. 오늘 대학병원 청소년아동 발달센터
병원가서 오늘 진료 받고 뇌전증 약 이랑, 수면제 약
수면제 약이 잠자기 전 1알씩 옛날 5살때 뇌전증 와서
지금은 아침 저녁 꾸준히 챙겨 먹고 있어요. 이제는 다른
교수님 연결 해준다고 해서 성인이라 신경과 로 가요.
뇌전증은 수면 부족 하면 발작 심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뇌전증 치료약 드시고 있다면 발작이 나타나지는 않겠지만 수면부족이 누적되면 뇌신경이 피로해져서 뇌전증 앓는분에겐 더 안좋은 영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뇌전증으로 약을 복용하시는 분은 약물 복용과 더불어 좋은 생활습관이 발작 조절에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은 뇌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밤을 새우고 일하는 교대 근무자나 게임을 하느라 충분한 수면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는 주의해야 합니다.
과로와 스트레스도 나쁜 영향을 줍니다. 신체적 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모두 발작의 유발 요인이므로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를 권합니다.
뇌전증은 신경계 질환으로, 수면 부족은 뇌의 전기적 활동에 영향을 미쳐 발작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야간 근무나 교대 근무와 같은 불규칙한 수면 패턴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뇌전증 환자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3조 2교대 근무로 인한 야간 근무가 지속되면 수면 리듬이 불규칙해지고, 이는 뇌전증 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경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의 조정과 함께, 생활 습관과 근무 패턴에 대한 조언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발작을 예방하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고, 전문의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론) 수면 부족이 지속되면, 뇌전증 재발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뇌의 문제(감정의 기복 , 불안, 짜증 등)를 동반할 수 있어
적응할 때 까지는 수면제를 처방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뇌전증 환자에게 수면 부족은 발작을 악화시킬 수 있는 주요 촉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수면 부족으로 인한 과도한 피로는 발작 역치를 낮추어 발작 위험을 높입니다. 따라서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들이고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뇌전증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교대 근무로 인해 수면 리듬이 불규칙해지면 수면 장애가 생기기 쉬우므로, 수면 위생을 잘 지키고 필요하다면 수면제 복용에 대해 신경과 전문의와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성인이 되어 신경과로 진료가 넘어간다면, 새로운 주치의와 생활 습관 관리에 대해 자세히 상담 받으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