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가는 언제쯤부터 불린 노래인가요?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라는
가사로 시작하는 희망가라는 노래는
작자미상의 곡으로 알고 있는데요
일제강점기를 다룬 시대극에서도
종종 나오던데 언제쯤부터
만들어지고 불리워진 노래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0년제목은 《이풍진세상을》입니다.
박채선등1인이 발표하였고 1930년 국내최초의 대중가수 채규엽이 레코드로 대중에게 븬지게 되었으며 희망가로 제목이 된것은 민중가요 입니다.
나라없는 민중의 서러움을 노래 한것 입니다.
이 노래는 찬송가를 개사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희망가의 원곡은 1850년 영국 춤곡을 바탕으로 미국인 제레미아 인갈스의 찬송 모음집이 수록된 The Lord into His Garden Comes 이라는 제목의 찬송가 이며
국내에서 1921년에 발표되어 1930년대 크게 유행한 대중가요입니다
1910년 기독교 신자 임학천이 작사하여 이 풍진 세상을 이란 제목으로 박채선, 이류색 두 민요가수가 1921년 발표하였습니다
여러 악보집이 여러 제목으로 소개되다가 여러 악사, 가수들이 부르며 가요에 보급되었으며 탕자자탄가 등의 원래 비탄조의 제목들도 희망가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내에서는 1921년에 발표하여 1930년대에 크게 유행한 대중가요의 고전입니다. 원곡은 1850년 영국 춤곡을 바탕으로 미국인 제레미아 인갈스의 찬송 모음집에 수록된 'The Lord into His Garden Comes'라는 제목의 찬송가 였습니다.
이 노래가 1910년에 일본에 전래되어 미스미 스즈코(三角錫子)라는 여교사가 이 곡에 사고로 죽은 같은 학교의 여학생들을 추모하는 본인의 자작시를 붙여서 '새하얀 후지산의 뿌리'(眞白き富士の根)라는 진혼가로 바꾸었고,국내에는 1910년에 기독교 신자 임학천이 아래에 적혀저 있는 가사로 작사를 하여 <이 풍진 세상을>이란 제목으로 박채선, 이류색 두 민요 가수가 1921년에 발표를 하였지요. 여러 악보집에 여러가지 제목으로 실려 소개되었습니다. 이를 당시 여러 악사나 창가 가수, 민요 가수들이 불러 대중가요로 보급되었고 '탕자자탄가'(蕩子自歎歌) 등의 원래의 비탄조의 제목들도 '희망가'로 바뀌게 된다. 특히 1930년 국내 최초의 대중가수 채규엽(蔡奎燁)의 레코드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고 그 이후로 송창식씨 같은 대중가수도 불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