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환자가 머물렀던 환기가 잘 안되는 방에는 감기 바이러스가 얼마나 오랫동안 있을 수 있나요
감기 환자가 머물렀던 환기가 잘 안되는 방이 있는데요. 그 방에 감기 바이러스가 남아 있다면 얼마나 오랫동안 있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종류, 외부 환경 표면이 어떤지, 주변 환경 등에 따라서 생존하는 기간이 달라집니다. 특정 바이러스의 경우 실내에서 7일 이상 생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리노바이러스의 경우 40%는 한 시간 후에도 감염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감기바이러스는 환기되지 않는 공기중에 2시간여 정도 떠다닐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유의하세요
바이러스의 종류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호흡기 바이러스들이 체외로 나오게 되면 수시간 이내에 사멸하게 되어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2~3일까지도 생존한다고 보고되기는 했지요.
감기 바이러스의 생존 기간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감기 바이러스인 라이노바이러스는 외부 환경에서 수 시간에서 며칠 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특히 딱딱한 표면 위에서는 최대 48시간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 부드러운 표면(예: 티슈나 종이)에서는 생존 시간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환기가 잘 되지 않는 방에서는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돌아다니기보다는 표면에 정착하여 더 오래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바이러스가 공기 중보다는 표면에 붙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문 손잡이, 스위치, 리모콘, 키보드 등 자주 접촉하는 표면에 바이러스가 오래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몸이 아닌 외부에 있을 때 오랫동안 살아 있지 못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방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감기 바이러스가 있는 침이나 타액 등이 직접 접촉이 되지 않는다면 감기에 걸릴 가능성은 적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