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기막힌다람쥐80
기막힌다람쥐8023.07.15

우리나라는 연평균 비가 적게내리는 나라인가요?

우리나라는 비가 적게내리는 나라인가요? 이틀동안 300mm이상 내려서 홍수나 산사태조심하라고하는데 연평균 강수량이 어떻게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우량은 약 1300~1600mm정도이나 해마다 차이는 다소 있으며..

    또한, 제주도,남해안,서해안지역은 2000mm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동해안이나 내륙의 일부 지역에서는 평균보다 훨씬 적구요..

    아시다시피 강우량은 계절마다 다르며, 여름에 가장 많이 내리는 경향이 있답니다.

    참고로..몇몇 국가들의 연평균 강우량을 보면...

    방글라데시가 약 2200mm, 콜롬비아가 1800mm, 인도네시아 1500mm, 우리와 인접한 일본은 1200mm정도라고 하는데..

    전 세계적으로 유독 비가 많이 오는 나라는 크게 없는 듯한데..방글라데시가 다소 좀 많이 오는가 보네요. ㅎㅎ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반도의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연평균 강수량은 지리적인 위치와 기후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반적으로 말하자면, 한반도는 비교적 강수량이 많은 편에 속합니다.

    대한민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200mm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전체적인 평균이며, 지역에 따라 강수량은 상당히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서해안과 제주도 등 일부 지역은 연간 강수량이 평균보다 높을 수 있으며, 동해안과 내륙 일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급격한 강수량 증가로 인한 홍수나 산사태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집중호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은 비가 적게 내리는 나라 중 하나는 아닙니다. 한반도는 일본해와 동해에 둘러싸여 있으며, 기후는 대체로 균일한 강수량 분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은 1,000mm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합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강수량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반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평균적으로 서남부 지방과 제주도 등 일부 지역은 1,500mm 이상의 높은 강수량을 기록합니다. 중부 지방은 보다 중간 수준의 강수량을 가지고 있으며, 동북부와 동해안 지역은 비교적 적은 강수량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틀 동안 300mm 이상의 강수량은 비교적 많은 양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강한 폭우나 기상 조건의 극단적인 변화에 의한 경우로, 홍수나 산사태와 같은 잠재적인 위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지자체와 기상 관련 기관이 경보 및 예방 조치를 취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한국은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대비와 안전 조치를 통해 비로 인한 잠재적인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국의 강수량은 1300mm 정도이고요

    중부지방은 대략 1200 ~ 14400mm이고,

    남부지방은 1000~1900mm 정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