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희망은좋은것이죠
희망은좋은것이죠22.12.20

눈이나 비가 아니라 우박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과학적 원리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제가 우박이 떨어지는 모습을 몇번 실제로 봤거든요! 눈과 비가 아니라 어떻게 자그만한 얼음알갱이마냥 우박이 떨어질수가 있는건가요? 우박이 만들어지는 과학적 원리가 궁금해졌어요! 알려주실수 있나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0

    구름이 상층의 매우 낮은 영하 40도정도의 대류를 만나면 구름속의 미세 물방울(수증기)은 얼음이 됩니다.

    이 미세 물방울 즉 빙정은 주위의 빙정들과 서로 달라붙게 되고 커지면 떨어지는데 이것이 눈입니다.

    이 미세한 수증기 빙정이 서로 달라 붙으면 눈이 되는 것입니다.

    이때 지표에서 올라오는 강하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면 수증기가 더욱더 많아지고 이수증기가 구름속의 얼음 알갱이와 결합하여

    더큰 얼음덩어리가 되고 이것이 지구중력을 버티지 못하고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면 이것이 우박이 됩니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그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게 되어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결국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과 우박은 비슷하게 만들어집니다. 하늘 높은 대기권에서는 기온이 매우 낮습니다. 보통 비가 내려야 하지만 비이상적으로 온도가 낮을 경우 미세한 물방울이 응결이 되고 주변 물방울과 합쳐지면서 무게가 점점 무거워지게 됩니다. 이 때 어느정도 무게가 되면 눈으로 내리는데 이 때 상승기류를 만나면 다시 올라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수증기를 더 머금게 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우박이 되는거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서 눈의 결정 주위에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땅 위로 떨어지는 덩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

    "주로 강한 상승기류를 타고 적란운에서 발생하며, 처음에는 눈의 형태로 떨어지다가 과냉각된 구름 알갱이가 충동하여 얼어붙고, 점차 커지면서 낙하 속도가 증가하여 지상에 이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몇 분 정도로 그치지만, 때로 30분 이상 내리는 경우도 있으며 투명한 얼음층과 불투명한 얼음층으로 싸여 있다고 합니다."라고 백과사전에는 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대기불안정으로 생긴 "적란운"이란 구름이 생성이 되고, 이 적란운 내에는 온도차가 있는데 위로 갈수록 차가운 부분이고, 이 부분에서 얼음결정이 생겨나며, 점차 얼음 알갱이가 커지면서 무게가 대기가 받쳐주는 범위를 벗어나면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천둥구름안에서 만들어지며 언 빗방울이나 싸락눈에서 시작되어 그 핵이 냉각물방울사이를 이동하다가 물방울과 함께 어는데 계속 물이 표면에 달라붙어 얼으며 무게가 무거워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