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3.12.19

가끔 기온은 영상인데 눈이 내리는 이유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야 눈이 내린다고 하는데 그렇게 춥지도 않는 5도 정도인데도 눈이 내릴수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떠한 이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야 눈이 내리는 것은 일반적으로 맞는 말씀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영하여야 눈이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5도 정도의 기온에서도 눈이 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대기의 습도입니다.

    대기의 습도가 높을수록 눈이 내리기 쉽습니다. 그래서 기온이 영하여도 습도가 높다면 눈이 내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대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미세한 입자들이 눈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눈이 내리는 것을 도와줍니다. 따라서 기온이 영하여도 습도가 높고 대기 중에 먼지나 입자들이 많다면 눈이 내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기온이 영상인데 눈이 내리는 경우는 대기의 온도가 지표면의 온도보다 낮을 때 발생합니다. 이를 역전층이라고 합니다. 역전층은 대기의 온도가 지표면에서 높은 고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으로 이 때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눈으로 변화하여 눈이 내리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어는점이 0도인 것은 1기압일 때이고, 기압에 따라 물의 어는 점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영상의 기온이더라도 기압이 높아지면 어는 점이 올라가 눈이 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지표면 가까운 대기의 기온이 영상이더라도 구름이 있는 상층부의 대기는 온도가 매우 낮아 지면 근처에서 충분히 녹지 못한 눈이 내릴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구름 안의 물방울이 얼어서 생성되는 현상입니다. 물방울은 0도 이하의 온도에서 얼게 되지만, 구름 안의 온도는 0도보다 높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구름 안의 물방울이 과냉각 상태에 빠지면, 작은 얼음 결정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 얼음 결정이 점점 커지면서 눈이 됩니다. 따라서,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지 않더라도, 구름 안의 온도가 0도 이하이고, 물방울이 과냉각 상태에 빠지면 눈이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대기 중의 수분: 대기 중에는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로 존재합니다. 낮은 기온에서는 수증기가 응고되어 작은 얼음 결정으로 변합니다.

    2. 구름 형성: 높은 고도에서 수증기가 응고하여 얼음 결정이 형성되면, 이 얼음 결정은 서로 충돌하거나 다른 수분 분자들과 결합하여 구름을 형성합니다.

    3. 구름에서 눈으로의 변화: 구름이 계속 성장하면서 얼음 결정이 충돌하고, 수분 분자들이 얼음에 응착하여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구름 안의 눈 입자들이 형성되고, 충분히 크면 지면으로 떨어져 눈으로 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