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역사적으로 명심보감의 유래와 주요내용이 궁금해요.
명심보감이 제목의 뜻 그대로하면 마음을 밝혀 주는 보배로운 거울로 착하고 바르고 지혜로운 마음을 심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 고전서라고 하던데요. 역사적으로 명심보감의 유래와 주요내용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심보감의 유래와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책명의 ‘명심’이란 명륜·명도와 같이 마음을 밝게 한다는 뜻이며, ‘보감’은 보물과 같은 거울로서의 교본이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책의 내용은 계선편 · 천명편· 순명편 등 모두 20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뒷날에 와서 증보편 · 효행편속· 염의편 · 권학편을 증보하여 보강한 것이 있는가 하면, 팔반가 한 편을 보완한 증보판도 보인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심보감은 명나라 범립본((范立本)이 1393년 사서삼경을 비롯해 공자가어, 소학, 근사록, 성심잡언 등의 유교 경전과 유학자들의 저술을 중심으로 고전에서 금언, 명구를 추려서 주제별로 상, 하 2권으로 엮은 책입니다. 책 이름에서 ‘명심’이란 것은 명륜(明倫)·명도(明道)와 같이 마음을 밝게 한다는 뜻이며, ‘보감’은 보물과 같은 거울로서의 교본이 된다는 것을 뜻하는 것입니다.
주요 내용은 계선편(繼善篇)·천명편(天命篇) 등 모두 20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뒷날에 와서 증보편·효행편속(孝行篇續)·염의편(廉義篇)·권학편(勸學篇)을 증보하여 보강한 것이 있는가 하면, 팔반가(八反歌) 한 편을 보완한 증보판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