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어린사자44
어린사자44

리먼브라더스금융위기의 재발가능성

사실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에서 나타나고있는 전세사기, 새마을금고 등 금융업계의 부실대출사태 등 제2의 부동산발 금융위기가 터지는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오히려 그때보다 인플레이션이 더 심각해서, 가능성이 더 커보이는데요. 전문가분들이 보시기에는 괜한걱정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새마을금고 등의 위기에 대하여 관련자들이

      위험은 없다고 하였으며 외환보유고액도 충분하기에

      과거 IMF와 같은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아보이며

      금융기관의 도산 등도 전세계적으로 잠시 주춤한 상태이기에

      위험성은 다소 낮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우리나라의 경우만 놓고 본다면 과거 미국의 리만브라더스 사태가 발생하였던 시기와 비슷한 형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리만브라더스의 사태는 신용부도스와프와 같은 상품을 추가로 만들어내면서 리스크를 더욱 키웠던 반면 지금은 순수하게 부채리스크로 인해서 만들어지고 있어 연쇄적인 파산의 규모는 지금이 조금 더 작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시작된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부동산이 크게 위축되었고, 부채가 1인당 GDP대비 가장 높은 수준에 머무르게 되면서 저신용자와 저소득자들의 연체가 급증하였고 PF대출 또한 지방물건을 중심으로 연체가 급증하고 있어 건설사,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한 파산 리스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가지 다행이라고 할 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수준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 금리동결이 예상되면서 하반기만 무사히 잘 버틴다면 금리인하를 시작할 수 있어 이러한 부채리스크의 노출을 더 미래로 미룰 수 있다는 점이나 결국 한국의 부채리스크는 지속적으로 통화정책을 하는데 발목을 잡게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좀 쎄게 말해서 전혀 상관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상위 10프로 20프로가 이끌어가는 나라입니다

      전세사기 피해자들 , 일부 2,3부리그 건설회사 정도가 망한다고 나라가 문제될거는 없습니다

      인플레이션도 상관없습니다 계란값 만원에 팔아도 잘팔립니다

      그냥 돈없는 노동자 서민들만 고생하는것이고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능성이 낮습니다 이미 작년 레고랜드발 부동산pf 사태가 있었는데 정부에서 거의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지원해줘서 무난히 넘어갔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