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로 나타낼수없는 것들은 중독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알코올중독 이런건 검사해서 수치로나오니 알수가있는데 게임중독, 도박중독, 스마트폰중독, sns중독등 이런것들은 어떻게 중독인지 판단하는지 시간을 많이 쓰면 인지 아니면 시간에 관계없이 환자의 상태를보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중독의 기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알코올중독과 같은 경우는 혈중 알코올 농도 등을 통해 수치로 평가가 가능하지만, 게임중독이나 도박중독, 스마트폰중독, 그리고 sns중독 등은 조금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런 유형의 중독은 주로 개인의 행동 패턴과 심리적 상태에 의해 평가됩니다. 그 이유는 행동 중독의 경우 어떤 특정 물질이 아닌 행동자체에 몰입하거나 의존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이러한 중독의 판단은 시간의 사용량만으로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특정 활동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로 인해 개인의 일상생활, 인간관계, 직업적 기능, 정서적 안정 등이 얼마나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하느라 중요한 일을 반복적으로 놓친다거나, 도박을 하면서 경제적 문제를 일으킨다거나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중독의 판단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고려됩니다. 해당 행동을 하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불안이나 짜증 같은 금단 증상, 점점 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는 내성, 그 행동을 줄이거나 중단하려고 해도 잘 안 되는 통제력의 상실 등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다양하게 겹쳐질 때, 중독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 과정에서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평가가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행동 수정 계획이나 치료 프로그램이 제안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객관적인 수치로 진단하기 어려운 중독은 주로 행동 패턴과 삶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진단합니다.
일상생활-가족, 학업, 직장, 사회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정도, 예를 들어 게임 때문에 직장을 그만둬야 할 정도이거나 수면을 거의 취하지 못하는 경우 등입니다. 사용 시간을 줄이려 해도 실패하고 스스로 중단하려 해도 자꾸 다시 하게 되는 등 조절 실패도 진단 기준이 됩니다. 안 하면 불안하거나 우울해지고, 점점 더 많은 시간/강도로 해야 만족이 되는 경우, 대부분의 시간과 관심이 그 행동에 쏠리는 경우 등도 포함됩니다.
사용 시간보다는 삶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중요한 기준이 되며 8시간을 해도 일상 생활에 문제가 없다면 중독이 아니지만, 2-3시간을 해도 삶을 침식한다면 중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알코올이나 약물중독처럼 혈중 농도나 생화학적 수치로 판단할 수 있는 중독과 달리 게임 도박 스마트폰 SNS 중독은 행동 중독으로 분류되며 수치보다는 행동 양상과 그로 인한 삶의 영향을 중심으로 진단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그 행위가 본인의 일상 건강 관계 직장이나 학업 등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느냐 그리고 중단하려 해도 스스로 조절이 안 되는가입니다. 단순히 사용 시간이 많다고 해서 중독으로 판단하진 않습니다
정신의학적으로는 이런 중독 판단을 위해 정신질환 진단 기준 등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 중독의 경우 게임을 줄이려 해도 실패함 게임에 집착함 현실보다 게임을 더 중요하게 여김 부정적 결과에도 불구하고 계속함 등과 같은 항목이 해당돼야 중독으로 진단합니다
즉 사용 시간 자체보다는 그 행위가 삶을 얼마나 잠식하는지가 핵심 판단 기준입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