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

국민소득이 매년 늘어가는 것은 물가도 그만큼 상승하고 있다고 보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최저임금을 매년 조금씩 올리고 있잖아요. 그러면 국민소득이 높아지는 만큼 매년 그에 비례해서 물가도 그만큼 상승하고 있다고 보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곧 해당 국가에서 창출되고 있는 부가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고 봐도 되며, 임금 또한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키는 큰 요인중의 하나이다 보니 국민소득의 상승은 곧 인플레이션의 상승으로 인한 것이라고 볼수도 있어요

  • 최저임금이 올라가서 물가가 오른다는 말은 맞으나, 오류가 있는 부분이죠

    예를들면 최저임금을 받는 사람이 약 천만명인데 그들이 오른 부분만큼 소비를 많이 한다면 물가상승으로 이어지겠지만 대부분 대출상환과 저축으로 갑니다 소비를 하는 사람들은 중산층이상들이죠 즉 최저임금의 취지는 최소한의 인간의 삶을 보장합니다

  • 국민소득이 늘어난다고 해서 물가도 그만큼 상승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국민소득에는 실질소득과 명목소득으로 구분되는데 명목소득은 단순히 화폐단위로 표시되는 소득으로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질소득의 경우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분명 소득이 늘었는데 왜 남는 것은 없고 살기가 더 어렵지?' 라는 얘기를 하는 것입니다.

    실질소득 증가률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예 어느 정도 맞는 말입니다

    최근에 미국 고용지표가 미국 기준금리 결정하는데 큰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그 말은 고용 즉 임금 수준이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그 물가가 기준금리 결정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국민들이 이 일하는 시간이 늘어나지는 않았을 것이고 소득이 늘었다는 것은 결국 임금이 늘었다는 것입니다. 임금이 늘어나는 것은 기업에게는 비용 발생 요소이고 일반 가계에는 소득 증가 요소라서 소비가 늘어납니다

    기업 비용이 늘어나고 일반 가계의 소비가 늘어나면 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 국민소득이 매년 조금씩 늘어나게 되는 것은 물가 상승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에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어느정도 비례할 것이나 작년과 같은 엄청난 물가상승은 구매력 저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 질문해주신 국민소득이 매년 늘어가는 만큼 물가 상승도 이뤄지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그렇습니다. 경제가 성장하고 국민소득이 느는 만큼

    물가 역시도 이에 견주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