햐루에 컴퓨터게임을 몇시간 정도하면 정샹인가요?
궁금해서 질문올립니다. 하루 컴퓨터게임 얼마나해야 정상인가요, 안해야 하는지. 하루 3-4시간 매일 컴퓨터 게임하는 아들이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하루에 게임을 3~4시간 매일한다면 문제가 된다고 생각됩니다
보통 1시간 이내로 하는것이 좋습니다 안하면 더 좋구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게임을 하는데 적당한 시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얼마든지 해도 중독이라고 하기 힘듭니다.
게임을 하면 적당시간 쉬어 주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몇시간이라고 절대적인 시간이 정해져있는건 아닙니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다면 적은 시간도 중독으로 봐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아드님 나이가 어떻게 되시나요?
단순히 시간으로 얼마나 해야한다가 정해져있는게 아니겠습니다.
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지가 중요한것이죠.
하루 3-4시간씩 하고도 학업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내 근무에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문제 없겠습니다.
하루 1-2시간이라고 하더라도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도 게임을 놓지 못하거나 밤늦게 게임을 해서 일하는데 지장을 준다면 문제가 있는것이구요.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하루 1-2시간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하루 1시간에서 2시간 이내로 게임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집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과도한 게임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4시간씩 매일 게임을 하는 것은 너무 많을 수 있으며, 운동, 공부, 사회 활동 등 균형 잡힌 일과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로서 게임 시간에 대해 규칙을 정하고, 다른 활동과의 균형을 맞추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게임중독장애는 게임을 하는 시간으로 진단하지는 않습니다. 게임중독장애로 진단하려면 게임에 대한 강한 집착과 내성, 금단 증상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사회적 기능에 방해를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게임을 좋아하고 자주 한다고 게임 중독은 아닙니다. 게임 중독까지 가려면 다음과 같은 진단기준에 부합해야 합니다.
점점 더 게임을 하는 시간이 늘어난다 (점점 더 많은 시간을 해야 만족을 느낀다) ; 내성
게임을 하지 않으면 부정적 감정을 느끼는 금단이 일어난다
처음 의도했던 것 보다 더 많이 게임을 하게 된다
게임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려고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게임을 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이 과도함 ; 아이템 구매를 위해 큰 소비를 하거나, 과도한 게임으로 수면 부족 등
게임으로 인한 사회적/직업적 손상. 가정이나 학교, 직장에서 성취도 저하, 게임 과다로 인해 갈등이나 건강 이상
성적 저하, 집중력 저하, 가족 갈등 등의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게임 지속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