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자음과 모음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우리가 글을 읽고쓰고하는데 평소 아무런생각없이
사용하지만 자음과 모음을 생각하며 이야기하고싶습니다
아이들에게 설명은 어떻게 해주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자음은 만들어진 소리가 목, 입, 혀의 발음기관에 방해되어 (닿으며) 나는 소리입니다.
모음은 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 입, 코를 거쳐 나오면서 스스로 혼자서도 소리를 낼 수 있는 힘이 있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자음은 소리값은 있지만 모음에 기대어 나지 않으면 소리를 낼 수 없기 때문에 이 두 소리의 관계가 마치 어머니와 자식과 같다 하여 스스로 혼자서도 소리를 낼 수 있는 소리를 어미 모자를 써서 모음, 모음에 기대어 소리를 낼 수 있는 소리를 아들 자자를 써서 자음이라고 한다고 설명해주면 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이라 하면, 자음은 ㄱ, ㄴ, ㄷ, ㄹ, 모음은 ㅏ, ㅑ, ㅓ, ㅕ 등인데 이러한 소리들은 세종 대왕 께서 목이나 혀 등의 발음기관의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인 모음과 방해를 받고 나오는 소리인 자음으로 구분 해서 만드신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자음과 모음은 그 한자에서 추측할 수 있듯, 어미 모, 아들 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자모음은 세종대왕이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