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증기 화상 병원 가는게 좋을까요??
전자레인지에 데운 음식의 랩을 벗기다가 손가락에 화상을 입었는데,
가벼운 느낌이 아니라 화끈거려 흐르는 물에 씻기도하고 차가운 물에 담구기도 하고 얼음을 비닐에 넣어 팩처럼 사용도 해봤습니다 !
호전이 되지 않는 거 같아 약국에 가서 화상연고를 사온 뒤 바르고 근무 때문에 구급상자에 있던 멸균 거즈를 감싸고 있는데
처음엔 괜찮더니 거즈가 따뜻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열이 올라오고 화끈거리는데 당장 병원을 가보는게 좋을까요?
사진의 소견만 보아서는 물집도 잡히지 않고 발적 소견만 보이기 때문에 1도 화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해당 소견만으로 반드시 화상전문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증상이 심하고 우려스러우시다면 화상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도 괜찮은 생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수증기 화상에 의한 2도 화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초기 대응을 잘 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화끈거림과 열감이 지속되는 것으로 보아 진피층 이상의 손상도 가능하겠고 연고를 바른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단순 표피 이상의 손상일 수 있습니다. 6시간 이상 증상이 지속되며 호전이 없다면 병원 진료를 권합니다. 사진에서 심한 껍질 벗겨짐이나 수포는 없으나 붉은기와 부종이 관찰되며 화끈거림이 거즈 너머로 느껴질 정도라면 진피층 화상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진료가 권장됩니다.
우선 집에서는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15~20분 간격 찜질을 해주시고 항생제가 포함된 습윤연고를 사용해주세요. 드레싱으로는 거즈보다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습윤 밴드가 더 낫습니다. 수포가 추후 생긴다면 절대 터트리지 마시고 병원에 방문하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수증기로 인한 화상은 생각보다 빠르게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일단 화끈거림이나 통증이 지속되고 손가락 부위가 따뜻하게 느껴진다면, 이는 감염이나 심화된 염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일단 흐르는 물에 상처 부위를 충분히 식히는 조치는 잘 하셨습니다. 하지만 열감이 계속되고 통증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단순히 집에서만 치료하기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가능하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병원에서는 보다 정확하게 상처의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화상을 입었을 때, 특히 처음에는 빠른 조치가 중요합니다. 이미 흐르는 물에 씻거나 차가운 물에 담그는 등의 조치를 취하셨다면 초기 대응은 잘 하신 편이에요. 그러나 화끈거림이 계속되고, 특히 멸균 거즈에 열이 올라오면서 화끈거린다면, 이는 화상 부위가 여전히 열을 가지고 있거나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가벼운 화상이라도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 특히 만약 물집이 생기거나 상처 부위가 깊어지거나 감염의 징후가 보인다면 병원에 가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손가락에 화상을 입으셨다면, 감염이나 흉터 방지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정확하게 화상의 정도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소독 및 처치를 하시는게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