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의 이자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Isa계좌를 통해 회사채에 투자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는데요. 국외의 기업의 사채를 매수한다면 세금면제 혜택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채 이자도 세금 부과 대상입니다. 일반 계좌에서 투자하면 이자소득세 15.4% 떼이고요, 국외 회사채도 마찬가지로 과세 대상인데, 외국기업이면 원천징수 세율이 국가마다 달라서 이중과세 방지협정 적용 여부까지 확인해야 좀 덜 뜯깁니다. isa 계좌로 들어가면 국내 채권이자에 대해선 비과세 또는 세율이 낮아지는 혜택이 있는데, 해외채권은 아쉽게도 그런 혜택이 없습니다. isa 계좌라고 무조건 다 비과세는 아니라서, 투자 전에는 어떤 자산이 세제 혜택 대상인지부터 확인하는 게 진짜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 회사 채권의 경우 이자 소득이 15.4% 원천징수됩니다. ISA계좌를 통한 세금혜택과는 별개로 적용되죠.
ISA계좌의 비과세 한도 200만원까지는 세금혜택이 있으나 이 외의 금액은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채에서 받는 이자소득은 15.4%의 이자소득세가 부과돼요. 하지만 ISA 계좌로 국내 회사채에 투자하면 일정 한도 내에서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다만 해외 기업의 회사채에 투자할 경우에는 ISA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지 않으며, 해당 국가의 원천징수세와 국내 과세가 함께 발생할 수 있어요. 따라서 해외 회사채는 세금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ISA 계좌를 통해 회사채를 투자할 경우, 국내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에는 비과세(일반형 200만원, 서민형 400만원)한도 내에서 세금 면제 혜택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국외 기업의 사채(외화채권)는 ISA 계좌에서 직접 투자할 수 없으므로, 세제혜택 대상이 아닙니다. 즉, ISA 계좌의 절세 혜택은 국내 채권(국채, 지방채, 회사채 등)에만 적용되고, 해외 회사채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회사채의 이자도 세금을 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ISA 계좌를 통해서 매수해서 나오는 이자는 ISA 만기 기간까치
200만원에서 최대 400만원까지 비과세가 되지만
일반적으로 회사채 매수해서 나오는 이자는
15.4퍼센트의 이자소득세가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채 이자 수익에는 15.4%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자소득세 14%, 농특세 1.4%가 원천징수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채의 경우 이자소득이 발생한다면 국내나 국외에서도 이에 대한 세금을 내야하며, 이러한 금액은 국내에서는 15.4% 세금을 이자소득으로 내야하며, 해외의 경우 이자소득세인 15.4%와 환차익이 발생하게 된다면 이에 따른 과세를 추가적으로 내야합니다. 다만 이러한 세금에 대한 부담을 줄이려면 isa계좌를 활용하고 이를 장기간 보유할 경우 이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ISA계좌로 국외 회사채를 매수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일반계좌로 투자하셔야 하며 세금도 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