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거대한향고래93
거대한향고래9323.03.31

초등 2학년 아이 발표력 키우려면?

초등2학년 여자아이인데여 요즘 학교에서 발표가 좀 있나봐요 소심하고 친구들이 웃고하니 발표를 못하고 쭈뼛거리다 운다고 하네요 ㅜㅜ 어떻게 발표력을 키울수 았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외부활동이나 다양한 경험을 접해보지 못하면 소극적으로 변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1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발표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발표 전에 친구들이나 가족들 앞에서 미리 이야기를 하는 연습을 반복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발표를 못하는것은 자존감이 낮아서 그럴수있습니다

    그렇기에

    평소에아이의 자존감을 높일수있는 훈련을 꾸준히 해주시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가족끼리 이야기 할 때에도 작은 목소리로 이야기 해도 공감 해 주시고 칭찬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발표 연습을 하면 자신감이 생기고, 긴장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매일 조금씩 집에서 연습하면 좋습니다.

    발표나 대화 연습을 친구와 함께 하면, 서로 도와줄 수 있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연습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책을 읽으면 어휘력과 문장력이 향상되어 발표나 대화에 도움이 됩니다.



  • 무엇보다도 발표력에는 자신감이 최고 인 것 같습니다 발표에는 지식이 우선 되어야 하니 책을 많이 읽게 하여 주시고 책의 내용으로 토론을 자주 하여 발표를하게 한다면 훗날 멋진 발표를 할 수 잇으리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을 잘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말솜씨가 없거나 내성적인 성격이라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때로는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몰라서 말을 잘 하지 않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독서, 신문 읽기는 배경지식을 쌓는데 유익합니다. 지식이 풍부한 아이들은 특정 주제가 주어졌을 때

    다양한 근거롸 논리를 바탕으로 이야기할 수 있게 됩니다. 같은 의미를 전달하면서도 적절한 비유와

    유머를 통해서 더 큰 흥미를 이끌 수도 있습니다.

    책을 고를 때는 추천도서나 권장도서를 고집하지 않습니다. 먼저 아이가 좋아하고 관심 있는 책부터 시작하세요.

    그리고 독서가 습관이 되었을 때 더 깊은 사고력과 통찰력이 필요한 어려운 책들에 도전해보도록 하세요.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집에서 발표연습을 시켜주세요.

    그리고 잘한다고 칭찬을 해주시는 등 함으로써

    아이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꾸준한 연습만이 발표력이 좋아집니다.

    발표할 내용을 종이에 적어서 미리 연습을 해보는 것입니다.

    시선은 앞을 응시하고 종이를 잠깐 보면서 발표 연습을 시켜보도록 하세요.

    또 목소리는 크게 또박또박 발음을 읽어가면서 언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아이에게 “너는 할 수 있어” 라고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잘하는것이 있을것입니다

    칭찬을 통하여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세요

    그러면서 가족들 앞에서 발표하는것부터

    연습하게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발표 내용을 미리 부모님께서 초안을 작성해주거나 가정에서 발표연습을 해보는것도 좋습니다

    대화를 자주 나누며 심리적 안정을 갖도록 해주시고 사람이 많은곳을 다니며 사람에 대한 자극에 둔감해지도록 하는것도 도움이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에게 큰소리로 책읽기를 시켜보세요.

    그리고 가족들 앞에서 아이가 말할 수 있도록

    아이에게 대화를 많이 걸어주세요.

    그것도 힘들어 하면 스피치 학원이나 토론 같은 전문가의 지도를 받으면 좋을거 같아요.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것도 훈련을 하면 좋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숫기가 없고, 조용하고 얌전한 내성적인 아이들이 발표를 싫어하고 표현이 적은 것을 두고 사회성이 없다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오히려 남의 말을 더 경청할 줄 아는 태도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답니다.

    아이의 장점에 대해서 아낌 없는 칭찬을 자주 해주세요

    평소에 아이의 결과 보다는 행동 하나 하나에 아낌 없는 칭찬을 해줘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 주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