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레알정많은챔피언
레알정많은챔피언

코로나바이러스에서의 mRNA 백신 질문드려요..

코로나바이러스 변이가 많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mRNA백신의 특징이 바이러스 염기서열만 알면 백신을 만들 수 있다고 알고있어요.. 그럼 변이가 나올때마다 그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분석해서 mRNA백신을 만드는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말씀하신 대로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하여 백신을 만듭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변이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변이된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mRNA 백신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백신 개발 방식에 비해 훨씬 빠르게 새로운 변이에 대응하는 백신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 팬데믹 기간 동안에도 변이 발생 시 새로운 백신 개발 및 접종이 이루어졌습니다.

  • 변이가 발생했을 때 상황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만일 변이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의 염기서열에 변화가 생기고, 특히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화가 경우라면 변이가 나올때마다 그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분석해서 mRNA백신을 만드는게 맞습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변이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변화된 단백질 정보를 담고 있는 새로운 mRNA 염기서열을 설계합니다. 그런데, mRNA 백신은 바이러스를 배양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전통적인 방식과 달리, 유전 정보를 기반으로 합성하여 만들기 때문에 생산 과정이 훨씬 빠릅니다. 단순히 유전 정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이죠. 이렇게 새로운 변이에 특화된 mRNA 백신이 개발되면, 기존 백신을 업데이트하여 접종하게 됩니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오미크론 변이 등 새로운 변이가 등장하면서 기존 백신이 업데이트되어 접종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mRNA 백신은 '플랫폼 기술'이라고도 불리며, 코로나19 외에도 독감, 에이즈, 심지어 암 치료 등 다양한 질병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변이가 생기면 해당 변이의 유전 정보를 분석해 백신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변이에 대해 새로 만들지는 않고 기존 백신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주요 변이에 대해서만 업데이트된 백신이 개발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