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 만기시 300만원 세액공제
안녕하세요.
Isa계좌가 만기되어 연금저축계좌로 이체시
300만원 세액공제가 300만원한도로 300공제가
다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ISA 계좌에서 만기금액 3000만원을 연금저축 계좌에 입금하면 10퍼센트인 3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가 들어갑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3,000만 원의 최대 10% 한도로 300만 원까지 추가 세액공제가 가능한 것이고, 이 경우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2,700만 원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세액공제는 각 개인별 세율을 구한 뒤 해당 금액을 곱해서 산출 세액을 다시 돌려 주는 구조입니다.
가령, 개인 소득세율이 22%이고 300만원을 납입하셨으면 66만원을 돌려 받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ISA 계좌가 만기되어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할 때 이체된 금액에 대해서도 최대 300만 원 한도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연금저축계좌의 일반 세액 공제 한도 내에서 이체된 금액이 세액 공제 혜택을 받는 것입니다. 이 혜택은 연금저축계좌에 적용되는 세액 공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전한 금액에 10%까지 세액공제가 지원되는 구조입니다.
1,000만원을 이전했다면 100만원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이 때 세액공제 한도는 연금저축펀드의 기본 한도와 별개로 추가 공제가 되는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한 금액은 세액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연금저축계좌는 연간 납입액에 대해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반면, ISA 계좌는 만기 시 발생한 수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한 금액은 연금저축계좌의 납입액으로 인정되어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ISA 계좌의 만기 금액을 이체한 것만으로는 세액공제 혜택이 추가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isa 계좌 만기시 300만원 세액 공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최대 3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주어지며
납입한 금액의 10퍼센트까지라고 합니다.
즉, 3,000만원까지 납입하면 300만원 세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ISA 계좌 만기 시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하는 금액에 대해 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연간 납입 한도 내에서 적용됩니다.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기본적으로 연 400만 원이며, 만 50세 이상인 경우 추가로 200만 원이 더해져 연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하는 금액이 300만 원이라면, 이 금액에 대해 전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이 금액이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한도 내에서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즉, 만약 이미 연금저축계좌에 다른 납입금이 있어 그 금액이 한도에 도달했다면, 추가로 이체된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ISA 계좌에서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한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한도가 남아있다면, 이체된 금액에 대해 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