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회전 디스크 위에서 사람이 팔을 벌리고 있다가 움츠렸을 때?

회전 디스크, 또는 의자 위에서 사람이 두팔을 벌리고 있다가

팔을 모으는 경우 속도가 갑작스럽게 빨라지고

이를 반복했을 경우 속도가 지속해서 가속도가 붙어 버리는 것을 본 적이 있는데요.

이런 운동 효과를 무엇이라고 부르나요?

이런 운동 효과는 어떤 규칙을 갖고 잇는 것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회전 디스크나 의자 위에서 팔을 벌리고 움츠리는 운동은 '감속운동'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운동의 속도가 갑작스럽게 빨라지고 이를 반복하면서 가속도가 붙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운동의 방향이 바뀌는 순간에 생기는 '관성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관성력은 물체가 운동 방향을 바꾸려고 할 때 발생하는 힘으로 물체의 질량과 운동 속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팔을 모으는 순간에는 관성력이 작용하여 속도가 빨라지고 팔을 벌리는 순간에는 관성력이 작용하지 않아 속도가 느려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규칙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뉴턴의 운동 법칙에 따라 물체는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물체는 운동 방향이 바뀌지 않는 한 일정한 속도와 방향으로 운동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운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감속운동은 운동의 방향이 바뀌는 순간마다 관성력이 작용하므로 운동을 계속 반복하면서 가속도가 붙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 현상은 운동의 방향이 바뀌는 순간마다 관성력이 작용하므로 운동을 계속 반복하면서 가속도가 붙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 현상은 운동의 방향이 바뀌는 순간마다 관성력이 작용하므로 운동을 계속 반복하면서 가속도가 붙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전 디스크나 의자 위에서 팔을 벌리고 움츠리는 운동은 감속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뉴턴의 운동 법칙에 따라 규칙적으로 진행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 회전 각운동량이 큽니다.

      팔을 모으는 동작을 하면 팔은 회전축에 가까워져서 회전 각운동량이 졸어듭니다.

      팔을 모으는 경우 회전 각 운동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회전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