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루크왕조에서 맘루크의 뜻이 노비라는 뜻이 있던데 맞나요
외국 맘루크왕조라는 특이한 명칭의 왕조가 있던데 맘루크의 뜻이 노비 노예해라는 의미라고 하던데 믿기가 힘들군요 그럼 노비들의 왕조라는 뜻이 되는데 이것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어로 Mamluk(맘루크) 또는 Mameluk(마멜룩), 아랍어로는 مملوك (맘루크, mamlūk), 복수형은 مماليك (마말리크, mamālīk)
옛 이슬람 국가들에 존재하던 정예 부대의 이름이다. 이슬람교로 개종한 노예 군인으로만 구성되었으며, 맘루크는 소유된 자를 뜻한다. 비슷한 뜻의 굴람(غلام, Ghulam)이라고도 불린다. 맘루크는 주로 이집트를 비롯한 중동 및 북아프리카 아랍어권 지방에서 쓰였고, 굴람은 이란 너머 중앙아시아 페르시아어권 및 이슬람계 인도 국가쪽에서 쓰였던 표현이다. 아랍어권에서는 흑인 노예병과 백인 노예병을 구분하여 백인 노예병은 맘루크, 흑인 노예병은 아브드나 지하디야라고 불렀으며 흑인 노예병들은 거의 보병이었다.
중동계 기병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전형적인 후기의 중장기병에 해당된다.
또한 사막에서 풀 먹고 자라는 기병을 키우는 것은 매우 힘들었기에 돈과 권위의 대표적인 수단이였다.출처: 나무위키 맘루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맘크루는 옛 이슬람 국가들에 존재했던 정예 부대 이름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노예 군인으로만 구성되었으며 소유된 자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맘루크는 '노예'라는 뜻이며 살라딘에 의해 건국된 아이유브 왕조의 핵심 군사력인 집단을 지칭했습니다. 이들은 아이유브 왕조의 군대로써 충실히 역할을 수행했으나 후일 아이유브왕조의 계승문제로 정권이 흔들리자 맘루크의 사령관인 아이바크가 술탄의 자리를 찬탈하여 직접 술탄이 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것이 맘루크왕조의 건국이자 시초인데
당시 인도양과 유럽을 이어줄 수 있는 지리적인 이점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며 국력도 동시에 강성하게 성장하였습니다. 사실 루트로만 보면 유럽 → 아시아로 가는 길이 직통이라 빨라보이지만 유럽 → 맘루크 → 인도양을 통하는 길이 훨씬 수월하고 빨랐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이런 요건속에서 꾸준히 성장하던 맘루크왕조는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양으로 직통하는 항로를 개척하여 부를 상실하였고 오스만과 친하게 잘지내다 카라만공국을 중심으로한 외교문제로 사이가 틀어져 결국 오스만제국에 멸망하기에 이르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3~16세기에 걸쳐 약 250년 간 이집트 제역에 세워졌던 왕조입니다.
주로 군사를 담당했던 노예인 맘루크가 세운 왕조로 무슬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 되었습니다.
왕조초기의 주요 인물들은 튀르키예 출신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이슬람 사회는 노예의 일에 명확한 제한을 두지 않고 그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일을 하게 했으며,
노예라할지라도 기회를 얻으면 사회의 요직에 등용되었습니다.
조선의 노예와 단순 비교는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