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은행의 듀레이션 공식은 어떻게 산출된 건가요?

은행은 이자율의 변화에 따라서 자산과 부채의 가치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이자율에 듀레이션을 곱한 만큼 가치가 변한다고 들었는데요. 듀레이션 공식이 성립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듀레이션은 채권의 현금흐름의 가중평균 만기를 의미해요.
    듀레이션이 길수록 이자율 변화에 따른 자산 또는 부채의 가치 변화폭이 커져요.


    듀레이션 공식은 채권 가격을 이자율로 미분해서, 가격 변화율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유도돼요.
    즉, 금리 변화율에 듀레이션을 곱하면 채권 가격의 상대적 변화율을 근사할 수 있어요.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의 듀레이션은 채권에서 발생하는 각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해당 기간을 곱해 모두 더한 후, 이를 채권의 현재가치로 나누는 맥컬리 듀레이션 공식을 주로 사용하며, 이는 채권의 평균 회수기간을 의미하고, 수정 듀레이션은 맥컬리 듀레이션(1+수익률)로 나누어 산출해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 변동 민감도를 측정하는데 활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에서는 듀레이션 공식을 어떻게 산출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은행에서 사용하는 듀레이션 공식을 맥컬리 듀레이션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공식은 채권이 어떻거 흐르는지 그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해서

    각 현금 흐름이 발생하는 시점을 가중 평균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이런 듀레이션은 채권 가격이 이자율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듀레이션을 계산하는 방법은 복잡하지만, 기본 원칙은 채권의 각 현금 흐름(즉, 이자와 원금 상환)이 발생하는 시점에 따라 그 현재 가치를 가중하여 평균을 구합니다. 예를 들어 말씀드리면 3년 만기 채권이 있다고 가정하고, 매년 이자가 지급되며 만기 시에는 원금이 상환된다고 가정합니다. 각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를 계산하고 이를 가중 평균하여 듀레이션을 계산할 수 있습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