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세관의 수출입 검사기관 지정, 화주 입장에서 꼭 신경 써야 할 점은?
세관에서 검사기관이 지정될 경우, 실제 화주나 수하인(Consignee) 입장에서 검사가 진행될 때 주의할 점과, 검사가 늦어질 때 무역 일정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러한 검사대상에 지정된 경우에는 예상한 통관일정에 차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여유롭게 통관을 완료하고 하역을 기다리는 경우는 다르지만 촉박한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물류 일정이 다 변경되어야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를 대비하여 가능하면 시간을 넉넉하게 잡고 신고를 완료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이러한 검사시 문제가 없다면 가능한 세관의 요청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통관 검사기관이 세관에서 지정되는 순간부터, 화주 입장에서는 일정 제어권이 사실상 사라진다고 보면 됩니다. 검사 일정은 세관이 통보하고, 검사기관 사정에 따라 지연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대응이 어렵습니다.
현장에서 자주 겪는 문제는 검사 일정 통보 후 실제 검사까지 며칠이 걸리는 경우인데, 이때 창고료나 운송 지연이 생기면 비용 부담도 커집니다. 수하인이 직접 검사 일정 조율할 수 없다는 점도 불편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검사 지연이 발생하면 L/C 결제 기한, 납기 일정, 국내 공급 계약까지 연쇄적으로 꼬일 수 있어, 처음부터 검사 가능성 있는 품목은 아예 도착 전에 검사기관 일정 파악해두는 게 좋습니다. 미리 움직이는 쪽이 손해를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