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23.09.15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의 차이점?

외환시장에서 환율의 제도 종류가

고정환율과 변동환율 제도로 그분된다고 하는데

이 2가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각각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도는 정부가 환율을 일정 범위 내로 고정시킴으로써 환율 안정을 도모하는 제도로 인플레이션 대처와 환율 안정 등에 기여하나 국제수지를 조정할 수 없고 경제성장이 억제되는 등의 부작용도 있습니다.

    변동환율제도는 환율이 외환시장 등에서 자유롭게 결정되는 제도로 국제수지가 항상 균형을 이루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도는 환율의 변동성을 정부가 개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렇게 고정환율제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달러를 강제로 시장에 매도를 하거나 혹은 금리를 변동시키는 등 여러가지 수단을 활용하게 되어요. 이러한 고정환율제도는 기업의 수출입에 대한 안정을 가져오기 때문에 환율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헷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점은 결국 다른 국가들로부터 '환율조작국'이라는 지적을 받게 되어 무역거래에 있어서 패널티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요

    변동환율제도는 시장에 환율의 변동성을 맡기는 것으로서 기업들은 환율의 변동에 따라서 환리스크에 노출되어 손실이나 이익을 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반면 자유로운 교역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도'는 외환의 시세 변동을 반영하지 않고 환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환율제도입니다.

    '변동환율제도'는 환율이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환율제도입니다.


    고정환율제도의 장점으로는 환율 변동에따른 충격 완화와 정책의 자율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정부나 중앙은행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국제수지 균형을 먼저 고려해야하는 제약이 생기며, 환투기공격에 노출됩니다.


    변동환율제도의 장점으로는 국제유동성 확보가 용이하며 정책의 자율적 수행이 용이합니다.

    단점으로는 개발도상국은 환율변동성이 높아짐으로써 경제의 교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정환율제도는 특정 국가의 통화 가치가 다른 통화에 대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중앙 은행은 환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통화를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정된 환율은 정부나 중앙 은행에 의해 결정됩니다. 환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정부나 중앙 은행은 환율을 변경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외부 경제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변동환율제도는 통화의 가치가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합니다. 정부나 중앙 은행은 환율을 조절하지 않으며, 시장 참여자들이 환율을 결정합니다. 환율이 시장에서 결정되므로 환율은 수시로 변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가 외부 충격에 대해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