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동성 배우자 입력이 가능하네요.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 기간인데요..
올해부터는 동성 배우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변경 되었다고 합니다.
사회의 민감한 이슈까지 반영하여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있도록 변경이 된 점은 아주 긍정적이라고 판단이 되는데..
일부 국회의원들은 이에 반발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동성 배우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변경된 것은 다양하고 정확한 사회 현실을 반영하려는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에서는 전통적 가족관념과 충돌한다며 반발하고 있어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이러한 변화를 도입한 배경에는 다양해진 가족 형태를 통계에 반영하여 실제 사회의 모습을 더 정확하게 담아내고, 기존 방식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동성 커플 등 특정 집단의 인구 정보를 누락시키거나 차별한다는 비판을 해소하여 통계의 포괄성과 정확성을 높이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일부 국회의원들이나 시민단체에서는 '혼인은 양성 간의 결합'이라는 민법상 정의에 비추어 볼 때 법률혼이 아닌 동성 파트너를 '배우자'로 인정하는 것은 헌법과 법질서를 위배하는 것이며, 심지어 허위공문서 작성 소지가 있다는 주장과 함께 정부의 방침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 의견 충돌은 가족과 결혼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와 통계적 포괄성 및 사회 변화를 반영하려는 노력 사이의 간극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것은 퀴어나 다양성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볼 수있겠지만, 사회의 근간을 해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통계청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의 형태에 대한 조사를 하는 만큼, 이러한 수요나 흐름에 대한것을 무시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통계청의 조사는 이벤트 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만큼 꾸준히 이러한 동성결혼에 대한 항목이 기록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동성간 결혼은 사실 해묵은 가치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교적, 사회적, 전통적 가치관에 위배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은 반면 최근에는 보다 개방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이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인구주택조사에 동성 배우자 기입란이 생겼다는 것은 이미 한국 사회는 동성간 결혼을 인정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동성간 입양자녀 문제, 동성 부부에 대한 권익과 사회적 인식 개선 등 개선 및 나아가야할 길이 먼데 제도와 법규에 한참 뒤진 사회적 합의는 아직 상당한 시간이 걸릴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사회가 계속 변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반발하든 하지 않던 그렇게 변동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