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멋쩍은나팔새291
멋쩍은나팔새291

지구과학 왜 경도가 38°일때 에너지 이동량이 최대인가요

에너지 불균형 문제인데요... 그래프를 보면 초과-부족이 딱 만나는 지점이 38°인데 왜 이동량이 최대인가요? 초과랑 부족이 한점에서 만나는 구간이면 에너지 이동량이 최소여야 하는 것 아닌가요? 초과-부족의 편차가 제일 큰 구긴이 에너지 이동량이 최대여야 하는 것 아닌가... 너무 헷갈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멋쩍은 나팔새님!!!:) 

    경도가 아닌 위도 38도 부근을 말씀하시는거겠지요??  

    위도 38도 부근에서 에너지 이동량이 최대인 이유는 첫째, 중위도 제트기류가 위치하는 곳이기 때문이지요. 제트기류는 극지방과 적도 사이의 열 에너지를 이동시키는 중요한 대기 흐름입니다. 제트기류의 강한 바람은 에너지를 수평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며, 이는 이 지역에서 에너지 이동량이 많은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둘째, 극-적도의 온도 차이입니다. 중위도 지역은 극지방과 적도 사이의 열 에너지 불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도에서 흡수된 태양 에너지가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이 지역에서 에너지 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죠! 또한 주요 해류들이 위치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북대서양의 걸프 스트림이나 태평양의 쿠로시오 해류는 열을 운반하여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에너지를 이동시킵니다. 이러한 해류는 대기의 움직임과도 밀접하게 상호작용하여 에너지 이동을 증가시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