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쿨러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한다고 하는데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스프링쿨러는 화재 발생 시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조건에서 물이 나오게 되는 것일까요??? 스프링쿨러에서 내부의 열 감지 장치나 작동 방식이 알고 싶습니다. 스프링쿨러가 아파트 관리사무소 일을 할때에 혼자 터져서 주차장이 한가득 물이 터진적이 있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스프링쿨러 헤드에는 감열체 즉, 휴즈메탈 및 유리벌브가 존재합니다.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 주변 온도가 설정 및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간다면 감열체가 녹아 내부 유리가 깨지면서 헤드가 열리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방수 노즐이 열리면서 물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쿨러는 화재가 발생한 곳에서만 작동을 합니다.
하지만 오작동으로 인해 실제 화재가 없어도 물이 방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작동의 원인으로는 외부 충격이나 감열체가 노후화 및 설치 오류, 관리 소홀 등으로 생길 수 가 있어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수적입니다. 이는 소방관련법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피해가 생긴다면 건물주가 민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어 적극적인 점검과 유지 보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스프링쿨러 시스템은 화재 시 특정 온도를 감지해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스프링쿨러 헤드에는 보통 유리 벌브나 용융 금속 링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유리 벌브는 내부에 열 팽창 계수가 높은 액체가 들어있어,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부피 팽창으로 깨지게 됩니다. 용융 금속 링크는 높은 열에 노출되면 녹아 끊어지죠. 이 두 가지 방식 모두 스프링쿨러의 물 흐름을 차단하던 밸브를 열어 물이 분사되게 합니다. 질문자님께서 경험하신 경우는 스프링쿨러가 외부 충격이나 고장으로 인해 오작동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스프링클러는 통상적으로 화재 발생 시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에는 온도에 반응하는 열 감지 유리관이 장착되어 있죠. 평상시에는 유리관에 액체가 채워져 있어 물이 나오지 않지만 화재로 인해 온도가 특정 이상으로 올라가면 유리관의 액체가 열 팽창하게 되어 유리관이 깨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스프링클러 배관 내의 물이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원리입니다. 가끔 유리관 자체의 물리적 손상이나 다른 외적 요인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스프링쿨러는 주로 열에 민감한 시스템으로, 내부의 열 감지 장치인 열감지기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작동합니다. 이 열감지기는 특수한 금속 물질이나 액체가 열을 받아 팽창하거나 녹으면서 밸브가 열리고, 물이 분사됩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쿨러는 개별적으로 작동하고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만 물을 뿌리기 때문에 주차장에 물이 터졌다면 열 감지기나 설계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소방 설비입니다. 각 스프링클러 헤드에는 열에 약한 감열체가 들어 있는데 화재로 인해 주변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이 감열체가 녹거나 깨지면서 헤드가 열리고 물이 분출됩니다. 이렇게 분사된 물은 초기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확산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 초기 단계에서 빠르게 작동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효과적인 소방 설비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파열되어 물이 반사됩니다.
또한 화재감지기가 동작하면 스프링클러를 반응시켜 동작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