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행복한코알라167
행복한코알라16723.09.06

한강이 얼었어도 결빙으로 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한강이 얼었다는 기준이 무엇일까요?

겨울철 뉴스를 볼때면 제가 사는 곳의 한강은 분명 얼어 있는데, 기상청 발표에는 결빙기사가 나오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이 얼었다는 기준은 기상청에서 정한 감시구역의 결빙을 통해 판단합니다.

    이 감시구역은 노량진부터 센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사이를 말하며, 상류방향으로 100m 떨어진 곳의 띠 모양 구역입니다.

    이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을 때를 한강이 얼었다는 결빙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상청은 한강의 결빙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한강의 특정 구간에서 얼음의 두께, 얼음의 분포, 녹는 속도 등을 측정하고 분석합니다. 또한, 해당 지역의 기온, 날씨 조건, 수위 등을 고려하여 결빙 현상을 평가합니다.


  • 한강이 얼었다고 해도 기상청에서 결빙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결빙의 정의와 관련된 기준 및 과정에 기인합니다. 결빙은 얼음이 물체나 땅 위에 형성되어 수면이 얼어붙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얼음이 물 속에 혼합되어 있을 때, 즉 강물 아래에 얼음이 형성되었을 때, 이를 결빙으로 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1. 수면 결빙: 주로 결빙으로 인정되는 것은 수면 위에 형성된 얼음입니다. 즉, 한강의 물 표면이 얼어붙는 경우를 고려합니다. 이런 경우, 빙하 위를 걷거나 자동차나 인명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물속 얼음: 한강과 같은 큰 강에서는 물속에 얼음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물의 흐름과 기온에 따라 변동하며, 강의 물속 온도와 물의 순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물속 얼음은 수면 결빙보다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기상청에서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예보하기 어렵습니다.

    3. 관련 법률 및 안전 정책: 한강이 얼어도 결빙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관련 법률 및 안전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빙 상태가 인정되면, 보행이나 차량 이용과 관련된 안전 조치를 취해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강이 얼었다고 해도 기상청에서는 결빙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결빙의 정의와 관련된 기준 및 안전 고려사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때에는 기상청이나 관련 당국의 공식 발표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이 얼었다는 기준은 기상청의 계절관측지침에 따라,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상류 100m 부근 띠 모양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서 수면을 볼 수 없는 상태입니다. 얼음의 두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한강의 일부 구역만 얼어 있거나, 얼음이 얇아서 수면이 보이는 경우에는 결빙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뉴스에서 보시는 한강이 얼어 있는 구역은 기상청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상청 발표에는 결빙기사가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6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강이 얼었어도 결빙으로 보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흐름: 한강은 일정한 흐름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물의 움직임과 열전달을 유지시킵니다. 따라서 한강의 물은 계속해서 움직이며, 얼음이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2. 규모와 깊이: 한강은 대형 강으로서 넓은 폭과 깊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양의 물이 계속해서 유입되며, 열 전달량도 상대적으로 큽니다. 따라서 한강의 대부분은 결빙하기보다는 계속해서 녹거나 움직입니다.

    3. 기후 조건: 서울 지역의 겨울철 기후 조건에서도 한강이 완전히 얼어붙기에 충분한 추위가 지속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의 평균 기온 범위에서는 한강이 완전히 결빙하는 것보다 일부 구간에서만 부분적인 얼음 형성이 나타납니다.

    4. 인공적인 개입: 관할 단체들은 한강을 항상 통과할 수 있는 수상 교통 및 관광 목적 등을 위해 노력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얼음을 제거하거나 방해요소를 사용하여 결빙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 서울의 한강인 한강인 경우 완전한 결빙 현상보다는 부분적인 얼음 형성 및 운반 현상 등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