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떨리는 미장 나스닥 확주저 앉았네요.
이거 회복이 되긴할지 언제쯤일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관세랑 무슨 연관이 있기에 주식까지 떨어진것인지도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와 주식시장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원래 없었던 관세를 부과한다는 것은 그만큼 물건 가격에 세금이 커지면서 소비자가 부담해야할 부분도 커지고, 기업의 실적도 줄어들 수 있는데요. 그러면 기업의 영업실적이 악화되어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해당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꺼려지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관세와 나스닥 시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관세 문제가 최근 시작되면서 경제의 거시적인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면 주식 시장에는 매우 큰 악재로 작용하게 되어서
주가를 떨구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불확실성이 해소되어야지 회복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발 관세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 시장의 효용을 감소시킨다는점에서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나스닥과 다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하락은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고도 보입니다.
앞으로 미국과 대적하는 국가들이 더 늘어날수록 급격하게 하락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글로벌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국 경제에 경기침체 징후가 보이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미국 증시가 폭락을 하고 아시아 증시도 따라서 폭락을 한 상황입니다
트럼프 전 집권때에도 중국과 관세전쟁 양상을 보이면서 증시가 크게 하락을 한적이 있습니다
그게 회복되는데 반년정도 걸렸으니 그래도 한여름은 지나야 다시 전고점 트라이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주식은 공포에 사서 환희에 파는게 돈은 되거든요 지금 자금 여유 있으면 저는 매수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장, 특히 나스닥이 급락한 건 고금리 지속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 관세 정책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식 관세 강화는 글로벌 공급망 충격과 무역갈등 심화를 유발해 기업 실적과 투자 심리를 악화시키죠.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시장 회복은 금리 방향성과 정책 안정성이 확인될 때 가능성이 커집니다.
즉, 단기 반등보다는 중장기적 조정 후 회복 흐름이 유력하다는 시각이 많습니다과한 관세를 매기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그런 인플레이션은 기업들의 실적 저하를 유발합니다.
실적이 떨어지는데 어느 수준까지 떨어질지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트럼프가 매긴 관세가 비현실적인 수준입니다.
관세가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몇차례 추가 하락은 있을수 있을 것 같고 그 상태에서 안정기를 맞으려면 꽤 긴 시간이 지나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호관세 보편관세 상품관세 부과등으로 100년이 넘는 역사에서 최고의 관세를 미국이 부과했습니다
이로인해서 글로벌 무역량 감소와 미국의 대다수 제조원가 상승으로 기업이익 감소 단기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발생하며 소비충격 장기적으로 디플레이션 소비침체가 우려가 되는 상황입니다
즉 실물경기 충격으로 기업이익 컨센서스가 확 떨어지게 되고 이런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면서 매도세가 더 거세지고 마진콜까지 나오며 나스닥뿐만 아니라 글로벌증시가 무너지고 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