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6.29

러브버그가 갑자기 늘어난 이유가 있나요?

러브버그라는 벌레를 직접 보진 못했던 것 같아요. 하지만 언제부턴가 러브버그 때문에 걱정된다는 얘기를 듣긴 했는데 뉴스에 너무 많은 개체수가 문제라고 하는데 갑자기 러브버그라는 벌레가 어디에서 나타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러브버그와 같은 외래유입종의 경우 해외에서 수출되어 수입된 배나 비행기 내의 화물에 실려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붉은등우단털파리는 털파리과에 속하는 파리로,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붉은등우단털파리는 습한 환경을 좋아하고, 썩은 나무나 동물의 사체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붉은등우단털파리는 최근 들어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붉은등우단털파리의 개체수가 증가한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기후 변화로 인해 습한 환경이 증가한 것

    • 개발로 인해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서식지가 파괴된 것

    • 붉은등우단털파리를 먹이로 하는 동물의 개체수가 감소한 것

    붉은등우단털파리의 개체수가 증가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냄새로 인한 생활 불편

    • 붉은등우단털파리가 옮기는 질병

    •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시체로 인한 환경 오염

    붉은등우단털파리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

    •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

    • 붉은등우단털파리를 먹이로 하는 동물의 개체수를 늘리기 위한 노력


  • 벌레 종류나 해충 문제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서 벌레나 해충의 개체 수가 급증하는 경우, 이는 해당 지역의 환경 변화나 생태계의 균형 변동, 기후 조건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건들은 해당 지역의 농작물, 식물, 생태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관련 기관이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금년 봄에 가물었던 시기가 길어 번데기 시절이 길었고 이번 장마철로 온도 습도가 최적화가 되어 성충으로 대량으로 우화해 많이 생겼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곤충들은 성충이 환경적응이 뛰어나 성충이 되기 적절한 시기까지 기다릴 수 있다고 합니다.

    ​다행히도 러브버그는 인간에게 무해하여 독성도 없고 질병도 옮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진드기 박멸, 환경 정화로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이충입니다.

    ​러브버그는 유충시절에 잡식을 하여 음식물의 유기성 폐기물 등을 섭취하고 심지어 해충의 알을 먹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