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겨울핑크
겨울핑크21.06.15

좌골신경통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골반틀어진 상태에 며칠전까지 허벅지 뒷쪽 통증이 심했어요 특히 앉았다 일어나면 끊어질정도로 아팠는데요 어느 의사 선생님분들께서 좌골신경통이 의심된다하셔서 설마하고 좌골신경통에 좋은 스트레칭을 했어요 스트레칭할때 허벅지가 땡기면서 아파요 그런데 스트레칭 하고나서 끊어질정도의 통증은 조금은 사라졌어요 아직도 아픈긴하지만요 원래없던 다리저림도 조금생겼어요 좌골신경통이 맞는건가요? 엉덩이는 안아파요 허리도 뼈에 아무 이상 없다는 소견을 받았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좌골신경은 허벅지 바깥쪽, 종아리의 바깥쪽과 뒤쪽, 그리고 발목 안쪽 복숭아뼈 주변을 제외한발의 거의 모든 부분의 감각을 지배합니다. 좌골신경이 손상되어 좌골신경통이 발생하면, 이 감각 지배 부위를 따라 통증이 발생합니다. 통증은 주로 띠 모양으로 엉덩이나 허벅지 바깥쪽에서 시작해서 종아리 바깥쪽과 뒤쪽으로 내려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통증은 주로 날카로운 양상으로, 환자마다 다양한 단어로 설명을 하는데, 주로 표현하기로는 '저리다'. '아리다' '전기 오듯 쩌릿하다', '칼로 저미는 듯 하다'라고 합니다. 통증은 지속적인 경우도, 간헐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화장실에서 배변을 하거나 무거운 것을 들 때, 기침을 하는 등, 순간적으로 복압이 증가될 때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남녀간에는 차이가 없으며, 40대에서 60대에 주로 발생합니다. 키가 클수록, 흡연자 일수록, 그리고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잘 생긴다고 합니다. 직업적으로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야 하는 강한 육체적 강도의 직업, 운전을 직업으로 가진 이에서 보다 흔합니다. 특히 구부정하게 몸통을 구부리거나 비틀어 일하거나, 팔을 어깨위로 들어올리는 자세인 경우 좌골신경통의 빈도가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에 비해 2~3배 높습니다. 좌골신경통 환자에서도 영상에서 추간판탈출증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반에서 종아리까지 방사되는 통증이라면 좌골신경통(Sciatica)가 의심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허리디스크등으로 인해 하지로 내려오는 신경근쪽에 염증이 생겨 방사통이 일어납니다.

    척추관 협착증이나 이상근 증후군, 근막통증 증후군인 경우에도 이런 통증을 호소 할 수 있습니다.

    원인에 따라 필요한 운동법이 달라서 원인을 정확히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좌골신경통의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비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로는 통증 자체를 경감시키기 위한 약제 복용,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 등을 이용한 약물 치료, 신경 뿌리의 압박을 경감시키기 위한 침상 안정, 견인 치료, 코르셋 착용, 척수 수기 등이 있습니다. 침상 안정과는 반대로 운동 등을 통한 적극적인 물리 치료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②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는 탈출한 추간판 조각을 제거하거나 신경 뿌리가 나오는 척수 사이 구멍의 협착을 없애서 좌골신경통과 그와 연관된 신경학적 장애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배뇨 곤란, 하지 위약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말총 증후군은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합니다. 허리신경뿌리 병증의 소견, 즉 다리의 위약이나 감각 이상 등의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 좌골신경통이 비수술적 치료를 받고도 4~6주 이상 계속될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좌골신경통은 일반적으로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환자의 50% 정도는 10일 이내에, 75% 정도는 4주 이내에 통증이 호전됩니다. 그러나 환자의 30% 정도는 1년 이상 지속적인 통증을 경험합니다. 이들에게는 좌골신경통으로 인해 업무나 취미 활동에 어느 정도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고 증상이 더 악화되는 일부 환자는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 뿌리가 압박을 받아 말총 증후군이나 신경뿌리 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양다리의 힘이 빠지고 감각이 무디어지며 배뇨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척추 디스크 질환 및 척추 협착증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통증, 하지 방사통, 걷다가 쉬어야하는 파행의 증상을 보입니다.

    다리쪽으로 근력저하나 감각저하가 있다면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엇보다 병원 방문하셔서 신체검사 및 정밀영상검사 시행하셔서 원인을 확인하고 그에 맞게 치료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반 비대칭으로 인해 생기는 통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골반이외에도 허리나 허벅지 등을 확인하시며, 골반의 비대칭의 원인을 찾아보시는게 중요합니다.
    근처 정형외과 내원하셔서 X-ray 검사 이후, 관절이 틀어진 부분을 확인후 해당 부위를 도수치료 등을 통해 교정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아래 골반교정 운동 링크를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177908&memberNo=1891127&vType=VERTICAL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좌골신경통은 허리나 엉덩이에서 시작하여 다리로 뻗치 듯이 아픈 것을 이릅니다.

    원인

    -좌골신경통의 90%이상이 허리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으로 추간판이 신경뿌리를 눌러서 발생하게 되며, 허리척추 4번째 및 5번째 사이 혹은 허리척추 5번째 및 엉치척추 1번째 사이에 자주 생깁니다.

    통증

    -좌골신경이 지배 부위에 통증이 불생합니다. 엉덩이나 허벅지 바깥쪽에서 시작해서 종아리 바깥쪽과 뒤쪽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저린 증상과 전기 오듯 찌릿한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치료

    -비수술적 치료 : 통증 자체를 경감시키기 위한 약제 복용,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 등의 약물치료나 신경뿌리의 압박을 경감시키는 침상 안정, 견인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 : 탈출된 추간판 조각을 제거하거나 신경뿌리가 나오는 척수사이구멍의 협착을 없애 좌골신경통과 그와연관된 신경학적 장애의 개선을 목적으로 합니다. 보통 척추후궁절제술, 척추유합술 등을 시행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반에 통증이 생겼다면 통증이 생긴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것이 좋습니다.

    무리한 운동이나 움직임으로 인한 근육과 인대의 손상인지 자세에 의한 문제인지를 확인해 보시고

    무리한 운동에의해 통증이 유발되었다면 충분히 휴식을 취하시고 골반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주세요

    앉아있거나 자세의 문제로 인한 통증은 자세를 교정하셔야 통증이 완화될수 있습니다.

    이렇게 했는데도 통증이 지속될 경우에는 가까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