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무지게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 일곱색깔인가요?

무지게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 일곱색깔인가요?

무지게 엄청 이쁘고 보면 기분이 좋아지잖아요

과학적으로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게(Mujigae)는 우리말로 무지개라고도 하며, 주로 비가 그친 후에 구름 사이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무지게는 과학적으로는 빛의 굴절과 산란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연적인 현상입니다. 다음은 무지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과학적 설명입니다.

      1. 빛의 굴절: 무지개는 빛의 굴절(refraction)에 의해 형성됩니다. 광학적 밀도가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빛은 경로를 변경합니다. 무지게의 경우에는 비를 이루고 있는 물방울로 인해 광학적 밀도가 변하면서 빛이 굴절합니다.

      2. 빛의 산란: 무지개는 빛의 산란(scattering)에 의해 색깔로 분리됩니다. 산란은 빛이 공기 중의 물방울과 같은 작은 입자들과 상호 작용하면서 색깔별로 분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무지게가 일곱 색깔로 나타나는 이유는 빛의 스펙트럼과 색깔별로 광파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빛은 다양한 색깔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색깔은 서로 다른 광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방울을 통과하는 빛은 각각의 광파장에 따라 다르게 굴절되고 산란되므로 일곱 가지 색깔이 무지게로 보여지게 됩니다. 이 일곱 가지 색깔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입니다.

      따라서, 무지게는 빛의 굴절과 산란에 의해 구름 사이로 비가 그친 후에 일곱 가지 색깔로 나타나는 아름다운 현상입니다. 이러한 과학적인 원리와 자연의 아름다움이 무지게를 통해 우리에게 기분 좋은 경험을 선사해주는 것입니다.

    •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빛이 공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굴절, 반사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태양빛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 등 7가지의 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7가지의 색은 공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굴절, 반사되면서 각각의 각도에 따라 달라진 각도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땅에서 무지개를 보면 7가지의 색이 띠 모양으로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