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7

국가검진에서 단백뇨소견이 양성으로 나왔어요

나이
30
성별
남성

(단백뇨 2+로 일시적변화로 보이나 지속 시 신장질환의심)

이라고 소견서에 적혀있는데 심각하게 봐야하는 부분일깨요

신장질환 혈액검사에서 혈청크레아티닌(mg/dL) :0.9

신사구체여과율(mL/min/1.73m2) :105

로 정상이라고 표기되긴 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말42
    하얀말4224.01.17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과로나 컨디션이 좋지 않은 경우 일시적으로 나타날수 있으나 지속된다면 신장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한달 뒤 다시 소변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신장 질환이 있더라도 심하지 않은 상태라면 신장 기능 검사가 정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단백뇨가 2+로 나왔다면 반드시 추적 관찰을 하여야 하며 계속 지속된다면 신장 관련 정밀 검사도 받아보아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단백뇨란 소변에 단백질이 누출되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신장은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조절하고, 대사작용 후 생성된 여러 물질을 여과하여 소변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신장은 혈중의 단백질을 여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인해 단백질이 소변으로 누출될 때 이를 단백뇨라고 부릅니다.

    단백뇨가 나타나면 항상 신장 이상이 아니며, 주로 신장 질환 또는 다른 전신 질환 (예: 당뇨병, 고혈압, 루푸스 등)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일시적인 단백뇨는 심한 운동, 고열, 오랫동안 서 있는 것, 갑작스러운 저온 환경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단백뇨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강검진에서 이를 확인하고, 단백뇨가 발견되면 신장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단백뇨의 형태에 따라서 일과성, 간헐적, 지속적인 단백뇨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형태에 따라 추적 검사와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특히 지속적인 단백뇨의 경우 신조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단백뇨가 나타난다면 신장 질환 또는 기타 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하고 적절한 관리를 위해 의료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금식을 하거나 과한 운동만 해도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올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 했을때 가장 흔하게 나오는 이상소견입니다.

    재검을 하면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소변검사 한번만 다시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단백뇨가 검출되었기 때문에 재검을 포함한 추가적인 진료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가까운 내과를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