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P검사 원리(병원에서 사용하는)
crp를 검사하는 원리를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
CPR는 감염, 염증이 발생하면 수 시간내에 간에서 만들어져 혈류로 분비되는 급성기 반응물질입니다. 혈액 내 CRP가 증가하는 것은 급성 감염이나 염증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항원으로서의 CRP와 생물학적으로 불 활성화된 라텍스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항체 사이의 면역반응을 기반으로 하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 는 응집반응을 관찰하여 결과를 판독합니다.
안녕하세요.
CRP는 사람의 혈장에서 발견되는 5각형 고리모양의 단백질입니다.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혈액에서 바로 CRP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혈액에서 CRP농도를 측정하여 급성으로 발생하는 염증반응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CRP검사는 항체를 사용하는 원리의 검사인데,
CRP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합니다.
라텍스에 코팅된 CRP에 대응하는 항체에 CRP가 붙으며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응집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를 보고 혈중 CRP농도를 알 수 있습니다.
CRP(C-반응성 단백질) 검사는 체내 염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혈액 검사입니다. 이 검사의 원리는 혈액 내 CRP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면역분석법으로, 특정 항체와 CRP 간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합니다. 구체적으로는 CRP에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가 코팅된 시험관에 환자의 혈액 샘플을 넣습니다. CRP가 항체에 결합하면 발색 단계를 거쳐 색의 강도가 측정되는데, 이 강도가 클수록 혈중 CRP 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방식으로는 혈구 침강 반응 검사나 네펠로메트리 등이 있지만, 면역분석법이 가장 정확하고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CRP는 염증 수치를 보는 검사입니다. CRP와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 라텍스입자의 항체 사이의 면역 반응(응집반응)을 보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CRP 검사는 주로 염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입니다. 주로 혈액 샘플을 사용하여 실시하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면역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효소면역분석법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특정 항체가 결합된 플레이트에 혈액 샘플을 넣고 CRP가 그 항체와 결합하게 합니다. 그 후에 항-CRP 항체(효소로 표시된)를 추가하여 CRP와 반응시킵니다. 마지막으로 색변화를 일으키는 화학 물질을 추가하여 효소의 활성을 측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