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는 계속 올라가기만 하나요???
요즘 밖에 물가가 많이 올랐는데 물가가 내려가기도 하나요? 한번 오른 물가는 안내려간다는데 그럼 어떻게 해서 경기가 좋아질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꾸준히 상승하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시간이 흐를 수록 돈의 가치는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돈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개념은 물가의 인상과 동일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악화되어 역성장(-성장)하는 경우에는 물가가 하락할 수도 있으며 전세계의 원자재 가격 인하 에도 가격이 하락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지금까지 경제성장을 지속해왔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기만 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물가는 우상향 하기 때문에 내리는 경우는 드뭅니다.
물가가 오른다고 해서 경기가 안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물가가 오르는 만큼 소득이 많아지면 개인이 체감하는 경기는 좋아지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그니까 이전보다 좋았다 안좋았다 의 반복입니다.
물가는 우리가 사용하는 법정화폐의 양이 많아지면서 가치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물건의 가격이 오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계속 돈을 더 발행해서 쓰기만 하니 추세적으로는 물가가 계속 오르기만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오른 물가를 잡으려고 금리를 올리고, 물가 오른데에 금리까지 올라 시민들이 힘들어 할때 다시 금리를 낮춥니다. 그러면 이 기간 동안은 이전 보다는 금리가 낮아지고 돈이 풀려서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아집니다. 이때는 경기가 좋고 그 뒤에 물가 다시 오르고 금리 또 오르고 할때는 경기 안좋고 의 반복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는 계속 오르기만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는 경제 구조입니다.
바로, 시장에 계속 현금이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적당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물가가 너무 급격히 상승하면 경제주체들의 고통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에 비해 물가하락은 굉장히 이례적인 현상으로 보통 급격한 경기침체 하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각국 정부는 적당한 수준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확률이 하락하는 확률보다 높습니다. 물가가 하락하면 보통 디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는 데 그러면 사람들의 소비심리의 위축으로 인해 소비를 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장하는 경제는 물가가 오르는 게 정상입니다. 중요한 것은 경제 구성원들의 소득 증가율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해야지 실질 소득이 증가하는 것인데 근래 수년 째 소득 보다는 물가 상승률이 더 높아서 실질 소득과 가처분 소득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