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인플레이션의 경우 물가가 미치도록 올라가는걸 말하는걸로 아는데요 스테그 플레이션은 반댓말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면서 경기까지 나빠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보통은 물가가 상승하면 경기도 같이 상승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그렇기에 금리를 올려서 경제를 식게하고 물가도 잡는데 스테그플레이션은 경제까지 나쁘다 보니
금리정책을 사용하기 매우 어려운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실제로 현재 우리나라가 스테그플레이션에 놓인 것과 같이 물가는 오르는데 경제는 침체로
빠지고 있어서 우선은 나라의 돈을 풀어 경제를 살리려 시도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것은 물가상승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2개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지만, 동시에 일어나는 특이한 상황이라고 볼 수 이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2개 동시에 일어날 경우 경기는 둔화되어 죽어가는 데 물가가 그만큼 상승하는 경우로, 이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소비심리가 죽고 이에 대한 경기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내어놓지만 이것이 실현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잇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와 함께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상당히 경제에 심각한 문제로 일반적인 인플레이셔, 디플레이션 보다 큰 문제입니다.
실업률 증가, 생산 감소, 소비 둔화 등으로 경제가 전반적인 침체가 되며 원자재 가격 상승, 임금 상승, 수요과 공급의 불균형에 의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인플레이션의 반대말은 디플레이션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경기가 침체에 빠졌음에도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물가는 상승하고 경기는 침체인 상황 즉 거의 최악의 상황을 말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의 반대말은 디플레이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고금리임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안잡히고 오히려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생기는 이유는 금리가 높아 소비가 줄었는데 경제가 악화되어 상대적인 수입물가가 올라 결국 소비자물가가 오르는 현상이며 이 수준까지 간다면 정말 심각한 사태가 벌어졌다고보시면되고 정부도 정말 어떻게 손쓰기 어렵게됩니다.
이렇게 가다가 버블이 터지면 결국 디플레이션으로 가게되어 일본처럼 장기간 정체되는 저성장하는 사회가 되거나 외환보유가 낮은 국가는 그냥 태초마을로 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stagnation(경기침체)과 inflation(물가 상승)을 합친 말입니다.
인플레이션의 반대가 아니라, 경기가 침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매우 고통스러운 경제상황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보통 경제가 성장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유동성이 늘어나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인데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는 오르는데 경기가 침체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경제 현상입니다. 즉, 경제성장률이 낮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해 생산과 소비, 고용이 위축되는 와중에도 원자재 가격상승, 공급망 붕괴 등으로 인해 물가는 계속 오릅니다. 이로 인해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높아져 국민의 경제적 고통이 커지고, 정책 대응도 매우 어려워집니다. 대표적으로 1970년대 오일쇼크 때 전 세계가 경험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미치도록 올라가는 현상을 말하는게 아닙니다 정확히 말씀드리면 통화가 부풀리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며 즉 통화가 크게 시중에 공급이 되어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상대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 재화의 가치가 오르는 이로 인해서 물가가 오른다고 하는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말씀하신 물가가 말도 안되게 엄청나게 오르는 현상은 하이퍼 인플레이션이라고 별도의 용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스태그 플레이션은 보통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통화량이 증가하고 소득이 증가하면서 당연히 이로 인해서 재화의 가격이 오르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는데 스태그플레이션 수요가 감소하고 경제가 침체임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떨어지지 않고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급격한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