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아싸가오리리
아싸가오리리

빗물을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물부족에 기여하는 방식

안녕하십니까.

빗물과 관련해서, 이것을 재활용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물부족에 기여하는 방식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빗물은 비교적 깨끗하며 가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원 관수, 세차, 화장실 물 내리기 등

    일상 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빗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용을 통해 수돗물 사용량을 줄여 월간 수도 요금을 절감

    할 수 있으며, 물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빗물 재활용은 환경 보호에도 크게 기여합니다. 빗물이 지면에 떨어져 바로 흡수되지 않고 도시의 빗물을 배출하는

    하수도 시스템으로 유입되면 이 시스템에 부담을 줍니다. 빗물을 모아 재활용하면 이러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도시

    홍수의 위험도 낮출 수 있습니다.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빗물의 흘러가기보다 침투율을 높여 토양과

    지하수의 보충에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빗물의 재활용으로 빗물저금통 시설을 말할수 있습니다.

    이는 건물 지붕 등에서 빗물을 모아 간단히 여과한 뒤 조경·청소용수 등으로 쓸 수 있게 하는 친환경 시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빗물을 재사용하는건 식수가 부족한 나라에선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연간 강수량이 1300 밀리미터 정도로 세계 평균 970 밀리미터보다 많은 편에 속하지만 국토면적 대비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필요한 강수량은 2705 m2/연 으로 세계평균 22100m2/연 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댐과 지하수 등을 활용하여 식수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은 국가에서는 해수를 담수화해서 사용하거나 빗물을 활용하여 식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비는 산성을 띄고 신체 접촉시 트러블을 일으킬 거라고 생각하지만 산성도는 높지 않습니다. 실제로 대기오염이 심한 국가아 아니라 일반적인 국가라면 빗물은 결코 더럽지 않습니다. 바닷물을 담수화 시키는 과정은 엄청난 비용과 절차가 필요하지만 빗물은 사실 그대로 마셔도 될 정도로 깨끗한 편 입니다.

    그래서 타국에서는 빗물을 돈이라고 생각하고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금통 이란글 사용하기도 합니다. 말그대로 빗물을 모아 평소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고대에서 부터 활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도 보와 같은 것을 활용하여 빗물을 저장하여 농업에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