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1%대로 전망하는 곳이 있다는데 저성장 시대 돌입이 의미하는 바는?
주요 금융기관들이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하향 조정했다는 뉴스가 있더라고요. 안그래도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성장률조차 낮게 전망하다보니 더욱 암울한 상황이 아닌가 싶더라고요. 2년 연속으로 2%미만으로 예상된다고 하던데 코로나때도 빠르게 경제 회복을 했기에 이번에도 또 금방 회복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도 들더라고요.
이런 저성장 시대 진입이 일자리, 임금, 생활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특히 청년 세대의 미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한국 경제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어떤 산업 구조 개편과 혁신이 필요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저성장 시대에 돌입하는 것의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옆 나라 일본이 30년간 저성장 시대를 살았던 것처럼
우리나라도 저성장 시대에 돌입하게 되면
소득은 늘지 않고 물가는 늘어나는
어려움을 겪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한국은행에서는 이미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5%로 예상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자리와 임금은 줄어들 수 밖에 없고, 가계는 더욱 재정여건이 안좋아 질 것입니다. 특히, 청년 시대는 올해 더 어려운 취업시장에서 미래에 대해 암울한 생각만 가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서는 R&D지원 예산을 다시 늘려서 미래 먹거리 산업을 보다 빠르게 찾아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