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7.03

중월전쟁 때 중국이 진 이유는 무엇입니까

중국은 대국이고 베트남은 소국임에도 불구하고 중월전쟁 때 베트남이 승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국이 베트남과의 분쟁에서 진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0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월전쟁은 중국이 먼저 공격했고 휴전제의도 먼저 했습니다. 중국은 베트남이 캄보디아를 침공한 것을 자신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것으로 보고, 베트남을 징벌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베트남은 10년 동안 미국과 싸워 온 노하우가 있는데 중국이 베트남을 만만히 보고 전쟁을 일으켰다가 모두 큰 피해를 입었지요.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를 중국을 뒤흔든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중국군은 장비나 통신면에서 근대화가 지체되어 있는 상태였다. 이 때문에 중국군은 전쟁 중 많은 사상자를 내는 희생을 치뤄야 했다.

    문화대혁명의 영향과 병참 등의 준비 부족과 더불어 초기 전투에서 중국군에게 큰 타격을 입힌 또 하나의 요인은 베트남군이 장사정포를 보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베트남군 제3보병사단이 M-30이나 D-30 같은소련제 122mm 장거리 곡사포를 사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베트남군의 포병 진지는 견고하였고, 그것을 무너뜨리지 않는 한 베트남 군의 방어선을 돌파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국군은 대포병 레이다를 사용했다.

    이에 맞서 베트남군은 압도적으로 많은 병력을 가진 중국군의 배후기동을 막기 위해 여러 개의 진지를 구축하고, 적에게 피해를 주면서 후퇴하는 종심(縦深) 진지전을 많이 펼쳤다. 중국군은 그 후, 주력이 부족한 베트남군의 후퇴에 맞추어 진군하였고, 2월 25일에 까오방, 2월 26일에는 라오까이를, 3월 5일에는 베트남 동북부의 요충지 랑선을 점령하는데 성공하면서 베트남 북부의 다섯 지방을 제압하였지만, 그 과정에서 야전군이 큰 피해를 입는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

    한편, 베트남군은 포위당하지 않고 랑선에서 후퇴하여 남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하노이 외곽에 거대한 진지를 구축해 두고 있었다. 하노이 시민들도 진지 구축을 도우면서 군과 함께 소총과 대전차 화기를 들고 진지에 들어가 결전의 의지를 보였다.

    중국군이 랑선을 점령한 그날 밤, 캄보디아 방면으로 전개 중이던 베트남군 주력이 마침내 합류를 시작하여, 하노이 교외의 거대 진지에는 5개 사단이 들어갔다. 중국 중앙 군사위원회는 베트남 주력군과 충돌하면 야전군의 피해가 다시 늘어나고, 점령지의 유지가 위태롭게 되기 때문에 즉각 철수를 결정했다. 다음 날 3월 6일에 “베트남에 군사적 징벌 완료”라는 선언과 함께 중국군의 철수를 명령했다. 중국군이 철군을 시작하자 베트남군 주력이 추격을 시작했다. 중국군은 점령한 성을 철수하면서 사회기반시설과 인프라를 파괴하는 비인도적인 초토화 작전을 거듭하여 베트남군의 추격을 차단하였다. 3월 16일까지 베트남 영토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이후 중국 정부는 국내외에 전쟁 승리를 선전했고, 베트남도 중국 인민해방군의 침략을 내쫓았다고 승리 선언을 했다. 미국 해군 전략 센터 연구원 헨리 J. 케니는 대부분의 서방 작가들이 전장에서 베트남이 중국을 압도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군은 "목표를 달성했다"고 주장하며 철군했으나, 실제로는 처음에 의도했던 캄보디아 주둔 베트남군의 철군을 이뤄내지 못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목표를 이룬 것은 아니었다. 1980년대 내내 국경선의 확정을 둘러싸고 중국군과 베트남군의 산발적인 전투가 계속되다가 1989년에 베트남군이 캄보디아로부터 철군하자, 평화협상이 시작되어 1999년 협정이 체절되었고, 중월간의 국경이 확정되었다. 이 와중에서 1980년대 내내 베트남에서는 해상루트를 통한 화교들의 탈출이 계속되어 보트피플이 동남아를 해상을 떠돌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