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아이스맨천사
아이스맨천사

목욕탕에서 귀를 물속에 담궈도 물이 귓속으로 안들어 가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성별
남성
나이대
60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 물속에 들어 가도 귓속으로 물이 안들어 가는데 물이 안 들어 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는 원리가 있으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 물속에 들어가면 귀 속에 물이 안 들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외이도는 귓구멍에서 고막에 이르는 부위로 S자형으로 굽어 있는 해부학적 구조로 인하여 안쪽까지 잘 유입되지 않습니다.

    귀 안쪽으로 들어간 물을 안전하게 닦아내기 위해서는 먼저 물이 들어간 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귓바퀴를 뒤로 당겨 휘어진 외이도를 펴고 가볍게 흔들고 그래도 안 빠지면 가볍게 살짝 뛰어보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귓속에 남아 있는 소량의 물은 체온으로 자연 증발하여 없어지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물 속에 고개를 담그더라도 귀에 물이 즉시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머리를 수직으로 물 속에 집어넣으면 외이도에 있던 공기들이 모두 빠져나가지 못한 채 물이 외이도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는 귀 안에 공기 주머니 (Air pocket)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것이 물이 고막에 직접 닿지 못하는 상황을 유발합니다. 하지만 고개를 기울인다거나 물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질만큼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 이 공기 주머니가 유지되지 못하고 고막까지 물이 닿을 수 있게 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귓속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는 주된 이유는 외이도(바깥귀길)의 해부학적 구조와 귀에 분포하는 섬모 때문입니다. 외이도는 S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어 물이 직접 고막까지 도달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외이도 피부에는 이구(earwax)를 분비하는 샘이 있어 귀 입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외이도 내부에는 표피 세포로부터 자라나는 작은 털인 섬모(cilia)가 있습니다. 이 섬모는 고막 쪽에서 바깥쪽으로 규칙적으로 움직이면서 이물질을 밖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물이 귓속에 들어가더라도 섬모 운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습니다.

    다만 장시간 물속에 있거나 깊이 잠수하는 경우, 귀 구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물이 귓속으로 침투할 수 있습니다. 귀 속에 물이 들어가면 외이도염(swimmer's ear), 중이강 내 이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물놀이 후에는 귀를 살살 두드려 물기를 제거하고, 귀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지속되면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압력차이 때문에 물이 안들어갑니다.

    외이도에 공기가 차있어서 그래요.

    빈 물병을 물속에 넣었을때 공기가 차있고 물이 안들어가는것 처럼요.

  • 우리 입이나 코처럼 귀도 신체 내부로 연결되어있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외이도에서 들어가다보면 아래 그림에서 보시는것과 같이 고막이 막고있습니다.

    외이도에 공기가 차있고 외이도는 얇은 관이라서 공기가 잘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이 공기를 빼내고 물이 들어오는 일은 잘 없습니다.

    물이 절대 들어가지 않는건 아닙니다. 간혹가다가 귀에 물이 들어와서 불편해서 빼보신 기억은 있을겁니다.

  •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는 주된 이유는 외이도의 구조와 귀지의 역할 때문입니다. 인간의 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되는데, 외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외이도와 고막이 포함됩니다. 외이도는 우리가 흔히 보이는 귀의 구멍으로부터 고막까지 이어지는 통로입니다.

    .

    외이도는 약간의 S자 형태로 굽어 있으며, 이 구조는 물이나 이물질이 쉽게 귓속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외이도의 입구보다 내부 쪽이 약간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수영이나 목욕을 할 때 물이 쉽게 고막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귀는 자연적인 방어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어, 외부의 이물질이 중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고막은 외이와 중이를 분리하며, 이 고막이 물이나 이물질로부터 중요한 내부 구조를 보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 물속에 들어 가도 귓속으로 물이 안들어 가는 이유는 외이도에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막는 '이관'이라는 구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관은 외이도와 중이를 연결하는 관으로, 중이 내부의 압력을 외부와 같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관은 평소에는 닫혀 있지만, 삼키거나 하품을 할 때 열리면서 중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합니다.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 물속에 들어 가면 중이 내부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이때 이관이 열리면서 중이 내부의 압력을 외부와 같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물이 귓속으로 역류하지 않고 외이도에만 머물게 됩니다.

    이관은 중이염을 예방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이염은 중이 내부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중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중이 내부로 침투하기 쉽습니다. 이관은 중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면서 중이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 물속에 들어 가도 물이 귓속으로 안들어 가는 것은 이관이라는 구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관은 중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중이염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고막의 존재로 인해서 , 물이 귀로 들어가게 되면,

    기존의 외이도에 있던 공기가 안으로 밀려나가면서 (고막이 막으니)

    일종의 쿠션을 형성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깊은 물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압력이 높아지면서

    고막 손상의 위험이 있을 듯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