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화나면 왜 '잘먹고 잘 살아라'라고 칭찬하나요?

가만히 해석 해 보면,좋은 뜻 아닌가요?

잘 살라고 하는것도 그만큼 상대방이 행복해 지길 바라는 게 아닌가요?

왜 이 말이 상대방을 저주하는 말로 인식이 되어 버린 거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말이 저주의 말로도 볼 수는 없습니다. 저주를 하려면 "폭삭 망해라, 벼락이나 맞아라" 같은 적절한 표현이 얼마든지 있으니까요.

    반어법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애매하기도 합니다."얼마나 잘 먹고 잘 사는지 보자"고 했다면 반어적인 느낌이 강하지만 "아이고 부자 되겠네!"라고 했다면 완전 비꼬는 말로 반어적이지요. 반어는 비꼬는 느낌이 더 강해야 하니까요. 물론 잘 먹고 잘 살라는 말에 진정성이 약하기 때문에 반어적인 상황임에는 틀림없지만 다만 표현에서 반어적인 느낌이 적다는 것이 재밌게 느껴집니다. 결론은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고 결론을 내야 할것 같아요. 예를 들어 상대방과 싸우고 악 감정을 가지고 싸우고 헤어질때 이런말을 하면 저주가 될것 이고.. 좋은 관계에서 " 잘지내고 , 잘 먹고 잘 살아라" 할때는 축복의 의미로도 쓸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잘 먹고 잘살아라는 말은 말 그대로 해석하면 너무 좋은 말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말은 반어적 표현으로 욕 대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은 자기만 알고 욕심을 많이 부리는 사람에게 그래 잘 먹고 잘 살라는 말을 합니다.

    남도 도와주지 않고 욕심만 부리니 그런 사람에게는 기댈 것 없다는 마음도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잘 먹고 잘 살아라의 표면적인 뜻은 좋은 뜻이지만

    그 말을 할 때의 억양, 어투는 본 뜻보다는 비꼬는 뜻입니다.

    즉, 상대방에게 앞으로 잘 먹고 잘 살고 나는 더이상 너에 대해

    신경쓰지 않겠다는 뜻으로 하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화가나서 하는말

    '잘먹고 잘살아라' 라는 것에는

    '어디 한번 잘사는가 두고보자'

    라고하는 반어적인 뜻이

    있지않을까요? 미운 놈

    떡 하나 더준다 처럼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일종의 반어법일 뿐입니다.

    누군가 실수를 했을 때, "잘 한다~"라고 하는 것처럼요.

    우리나라 언어는 반어법이 발달한 나라입니다.

    오히려 반대로 말해서 그 효과를 더 강조하는 표현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