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용어 중에 폴리니아가 무엇인가요?
남극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는 글 중에
"남극 대륙의 동남극 로스해 테라노바만에 있는 인익스프레시블섬은 주변 바다가 얼지 않는 폴리니아 지형이어서 펭귄 바다표범을 비롯한 해양동물이 먹이를 구하는 데 유리한 지역이다." 내용에
폴리니아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폴리냐(polynya)는 해빙이 존재하는 극지 해양에서 거의 일년 내내 얼음이 없는 상태가 유지되는 해양을 의미하는 지리학적 용어로, 폴리냐의 형성 위치와기작에 따라 외해 폴리냐, 연안 폴리냐 혹은 현열 폴리냐, 잠열 폴리냐로 구분된다 외해 폴리냐 또는 현열 폴리냐는 해양 내부에서 용승한 고온의 해수에 의해(현열 공급) 해빙이 녹아서 생성되고, 연안 폴리냐는 남극 대륙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불어 나오는 강한 풍속과 낮은 기온의 활강바람이 연안 해양에 존재하는 해빙을 외해로 밀어내어 형성된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폴리니아"는 바다와 빙하 간의 여는 물고기의 어종을 의미하는 어학적인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남극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폴리니아 지형은 주변 바다가 빙하에 의해 얼어붙지 않아 여는 물고기의 어종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지형을 가리킵니다.
폴리니아 지형은 얼음이 얇거나 없는 지역으로, 얼음이 없기 때문에 어류들이 먹이를 찾는 데 용이합니다. 이런 지역에서는 어류들이 생존에 필요한 먹이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폴리니아 지형 주변은 해양 생태계에서 활발한 활동이 일어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남극의 동남극 로스해 테라노바의 폴리니아 지형은 특히 해양동물들에게 매우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펭귄과 해양동물들이 먹이를 찾는 데 유리한 환경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빙이나 총빙 사이에 있는 바닷물이 노출된, 상당히 큰 지역을 말한다. 바닷물의 노출시간은 길게는 수년 동안 계속된다. 넓은 노출면적은 흑해 크기만 한 것도 있다. 폴리니아는 해류나 바람에 따라 위치와 규모가 달라진다. 'polynya'는 러시아어이며 폴리니아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리드(lead)라고 한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폴리니아는 지구과학 용어 중 하나로, 해빙이나 빙하 등이 녹아서 물이 많이 된 지역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보통 폴리니아는 대규모 빙하나 해빙 부분의 표면에서 작은 구멍이나 개구부가 형성되어 물이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구멍은 특수한 기상 조건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
폴리니아는 빙하의 녹음과 연관되어 있으며,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의 녹음이 증가하면 폴리니아의 발생 빈도와 규모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폴리니아는 해양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양 생물들에게 산소와 자원의 공급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폴리니아(Polynya) 현상은 폴리냐(Polynya) 현상인데 흔히 쓰이는 용어가 아니다보니 아직 폴리냐 / 폴리니아 둘다 언론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폴리냐는 해빙으로 둘러싸여 있는 광범위한 얼음 구멍으로, 폴리냐 주변으로 보다 넓은 면적의 해빙이 녹을 수 있어 이 경우 겨울철 한반도에 이상기후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분석결과가 있습니다.
그럼 깊이있는 질문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폴리니아는 바다의 얼음이 녹아서 생긴 넓은 바다의 덩어리를 말합니다. 남극 대륙의 주변 해역에서는 겨울철에 해빙이 형성되지만, 해빙이 녹아서 생긴 폴리니아 지형은 해빙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보다 해수 온도가 높아서 해양 생물이 서식하기에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