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탕개의 난이 무슨 사건인가요???
안녕하세요.
니탕개의 난은 무슨 사건인가요?
언제 일어났으며
니탕개의 난이 일어나게 된 원인은 무엇이며
난의 전개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선조 16년(1583년) 1월 ~ 7월에 걸처 함경도 북부의 6진[1]에서 벌어진 여진족의 변란을 일컫는다.
이 당시 여진족 세력은 최대 3만명[2]에 달하는 무장 세력으로 조선 영토를 침공해 왔는데, 이는 임진왜란 직전 조선이 직면한 최대 규모의 전란이였으며, 조선은 이 이후 문제로 거론된 여러 방위 체제를 재검토하여 진관 체제에서 제승방략으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은 세종 시기의 북방 개척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함경도 쪽 방위에 신경을 써 왔다. 4군 6진 중 유지의 어려움으로 인해 4군을 폐한 이후에도(폐사군) 두만강 유역의 6진의 방위에 있어서는 매우 단호한 태도를 보여왔다. 김종서가 집필한 제승방략에 따르면 6진에는 봉수대가 총 82개, 수호처(순찰지)가 94곳, 후망(육상의 고정 관측 지점) 2, 해망(해상의 고정 관측 지점) 11개 등 극히 치밀한 방위 체계가 짜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만큼 이곳에 대한 방어 의지가 강경하였음을 뜻한다.그러나 문제는 당시 조선이 함경북도 일대의 지리적 특성과 부족한 인구로 인해 여타 지역처럼 단일한 진과 관만으로 자체 방어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진관 체제를 구비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실제로 제승방략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수호처가 매우 많고 해당 지역에서 순찰 도중 외침 발견시 즉각적으로 전투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함경도 북부의 인적 자원에 비해 방어할 지역이 매우 넓어 모든 요해처에 방위 병력을 배치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지역의 토착병들은 지속적인 전투 대비로 인해 여타 지역에 비해 확실히 그 질적 수준에서 우위에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심지어 해당 지역에서는 "남쪽 지방의 훈련된 군졸보다 우리 동네 여자들이 이곳 수비를 더 잘할 것"[3]이라는 식의 호언장담이 나돌았다는데, 이는 그만큼 그들 스스로도 자신들의 전투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선조 초기의 여진족들의 정세는 상당히 복잡하였다. 특히 누르하치의 발호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는데, 니탕개의 난이 일어나던 1583년은 이러한 누르하치가 본격적으로 여진족 내에서의 세력 다툼에 참여한 시기로, 명나라의 막대한 지원을 받던 누르하치의 세력 팽창은 여진족들 내부의 정세를 크게 변화시켰다. 그 과정에서 조선 근처에 거주하던 일부 번호들은 마침 몰아닥친 흉년으로 인한 식량 부족과 세력 다툼 등을 이유로 세력을 결집하여 조선을 공격할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은 이시애의 난과 이후 벌어진 요동의 건주 여진 토벌 이후부터 건주 여진과의 조공 관계가 끊어졌고, 중종 대 이후 해서 여진 및 야인 여진과의 조공 관계도 단절되어 여진족에 대한 정세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없었다. 그 결과 함경북도의 6진은 사전에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되어 1583년 1월 말부터 시작된 대대적인 여진족의 침공에 직면하게 된다. 그것이 니탕개의 난이다.출처: 나무위키 니탕개의 난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니탕개의 난은 1583년 1월부터 7월까지 발생 하는데 이러한 여진족의 침입은 조선 건국이래 계속 반복되어 온 일이나 기껏해야 수백에서 3천을 넘지 않았지만 니탕개의 난은 최대 3만명에 달하여 임진왜란 이전 조선 전기를 통틀어 최대의 외침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여진의 침입은 적의 침입은 두만강 일대 6진의 일부인 경성과 종성 일대에만 국한된 국지전이었고, 조선은 초반에 군사적 열세로 경원성이 함락되는 등 밀렸으나 일진 일퇴를 거듭하면서 결국 침입한 여진족들을 두만강 너머로 격퇴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북방의 침입으로 상대적으로 남쪽의 일본을 덜 신경쓰게 만드는 이유가 되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선조 16년(1583년) 1월 ~ 7월에 걸처 함경도 북부의 6진에서 벌어진 여진족의 변란을 일컫는다.
이 당시 여진족 세력은 최대 3만명[2]에 달하는 무장 세력으로 조선 영토를 침공해 왔는데, 이는 임진왜란 직전 조선이 직면한 최대 규모의 전란이였으며, 조선은 이 이후 문제로 거론된 여러 방위 체제를 재검토하여 진관 체제에서 제승방략으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은 세종 시기의 북방 개척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함경도 쪽 방위에 신경을 써 왔다. 4군 6진 중 유지의 어려움으로 인해 4군을 폐한 이후에도(폐사군) 두만강 유역의 6진의 방위에 있어서는 매우 단호한 태도를 보여왔다. 김종서가 집필한 제승방략에 따르면 6진에는 봉수대가 총 82개, 수호처(순찰지)가 94곳, 후망(육상의 고정 관측 지점) 2, 해망(해상의 고정 관측 지점) 11개 등 극히 치밀한 방위 체계가 짜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만큼 이곳에 대한 방어 의지가 강경하였음을 뜻한다.
그러나 문제는 당시 조선이 함경북도 일대의 지리적 특성과 부족한 인구로 인해 여타 지역처럼 단일한 진과 관만으로 자체 방어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진관 체제를 구비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실제로 제승방략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수호처가 매우 많고 해당 지역에서 순찰 도중 외침 발견시 즉각적으로 전투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함경도 북부의 인적 자원에 비해 방어할 지역이 매우 넓어 모든 요해처에 방위 병력을 배치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지역의 토착병들은 지속적인 전투 대비로 인해 여타 지역에 비해 확실히 그 질적 수준에서 우위에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심지어 해당 지역에서는 "남쪽 지방의 훈련된 군졸보다 우리 동네 여자들이 이곳 수비를 더 잘할 것"[3]이라는 식의 호언장담이 나돌았다는데, 이는 그만큼 그들 스스로도 자신들의 전투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