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을 통해서 사람의 성격을 분석하는게 과학적인 관점에서 타당한가요?
사람들은 4가지 혈액형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4가지 혈액형을 통해서 사람의 성격을 분석하는게 과학적인 관점에서 타당한가요? 제 주변에 보면 각각의 혈액형에 해당하는 성격들을 달달 외우고 다니면서 사람들을 분석하고 4종류로 무리짓는 친구가 있어 볼때마다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실제로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지 아니면 제가 생각이 꼬인건지 알고싶어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 성격설은 과학적으로는 전혀 신빙성이 없습니다.
이 속설은 20세기 초 유럽에서 시작되어 한국과 일본 등에 전파되었습니다.
그러나 혈액형 성격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일종의 유사과학이며, 혈액형을 기준으로 사람의 성격을 미리 결정짓는 것은 일종의 차별에 해당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사람의 성격은 오히려 환경에 따라 좌우되며, 혈액형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과 성격은 인과관계가 없는 비과학적인 관계입니다.
최근 혈액형 따라 성격이 갈라진다고 많이들 그러는데요, 그러나 사실 과학적으로 볼 때, 혈액형과 성격은 전혀 관련된 요소가 없다고 합니다.
사람의 혈액형은 적혈구에 존재하는 항원에 의해 결정되고, 대략 400개 이상의 적혈구 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인간의 혈액형도 수백 가지가 됩니다.
또 성격은 환경이나 양육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혈액형은 100% 유전이므로 성격을 혈액형으로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하고, 실제로 영국에서 혈액형과 성격과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조사한 연구가 있었는데, 서로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 성향이 비슷한건 사실입니다. 단 특정 혈액형을 가지고 꼭 특정 성격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혈액형과 성격 간의 상관 관계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혈액형에 따라 성격이나 특성이 다르다고 믿지만, 이는 주관적인 견해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