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빙하는 왜 푸른 색을 가지고 있나요?

빙하는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흰색이 아니라 왜 푸른 색을 띄는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빙하의 색은 주변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고, 다른 요소들로부터 어떤 영향받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분자는 물이나 얼음이나 빨간색 파장대의 빛을 더 잘 흡수하는데 햇빛이 깊은 곳까지 잘 들어갈수록 빨간색은 흡수되어

    우리 눈으로 되돌아오지 않지만 푸른색은 다 흡수되지 않고 산란되어 일부가 우리 눈으로 되돌온다고 합니다

    그래서 푸른 빙하처럼 보이는 겁니다

    물이 파란 이유와 같습니다 ^^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의 색은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빙하는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보통은 흰색으로 보이지만,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일 수도 있어요. 파란색의 빛은 빙하에서 가장 많이 반사되는 색이에요.

    하지만 빙하의 색은 빛의 파장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영향을 받아요. 빙하가 있는 지역의 대기에 미세한 먼지나 입자들이 있다면, 빙하가 빛을 반사할 때 그 입자들과 상호작용하게 되어 파란색보다는 녹색이나 흰색으로 보일 수도 있어요.

    그리고, 빙하가 녹을 때 물이 생기면 색이 변할 수도 있어요. 물은 빛을 더 잘 흡수하기 때문에, 빙하가 녹을 때 물이 생기면 더 짙은 파란색으로 보일 수 있어요.

    빙하의 색은 빙하가 있는 지역의 기후에도 영향을 받아요. 남극의 빙하는 북극의 빙하보다 더 푸른 색을 띄는데, 이는 남극의 기후가 더 건조하고 맑기 때문이에요.

    그러니까, 빙하의 색은 빛의 파장, 주변 환경, 빙하가 녹을 때 생기는 물, 그리고 빙하가 있는 지역의 기후 등 여러 요소들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색으로 보일 수 있어요. 이런 이유들을 고려하면서 빙하의 색을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빨주노초파남보'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빛의 색깔들은 얼음을 만나면 쉽게 흡수가 되지요



    그중 빛의 빨간색계열은 파장이 길어 얼음 깊숙히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파란색계열은 파장이 짧아 깊숙히 들어가지 못하고 얼음 표면에서 쉽게 산란이 됩니다



    때문에 우리 눈에는 이렇게 표면에서 산란된 파란색계열 위주로


    빛이 들어오게 되어 우리 눈에 푸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는 모두 아주 푸른빛을 띄고 있는데 빙하가 푸른색인 이유는 햇빛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빨주노초파남보' 빛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 빛의 색깔들은 얼음을 만나면 쉽게 흡수가 된다. 그 중 푸른색을 제외한 나머지는 파장이 길어 얼음 깊숙히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파란색계열은 파장이 짧아 깊숙히 들어가지 못하고 두꺼운 빙하의 얼음 표면에서 쉽게 산란이 되어 빙하의 표면에 산란된 파란색계열 위주로 빛이 들어오게 되어 눈에 푸르게 보이는 것인데 반대로 얇은 두께의 얼음은 빛이 모두 통과해 투명해보이거나 하얗게 보이는 것이다. 산빙하에 갔을때 이미 들었던 설명이지만 빙하의 푸른빛은 볼때마다 상당히 신비한 느낌을 주고 자연의 신비감을 느낄수 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에 포함된 산소에 의한 빛의 반사 때문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는 빙하에 기체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빙하는 쌓인 눈이 오랜 시간 압축되어 만들어집니다. 눈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배출되면서 투명도는 더욱 높아지는데, 이때 붉은빛은 흡수하기 쉬워지고 파란빛은 반사하기 쉬워집니다.

    즉, 빛이 빙하를 통과할 때 파란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파란 빛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푸른 색을 띠는 이유는 산란 때문입니다. 빛은 파장이 짧은 쪽에서 긴 쪽으로 갈수록 산란이 더 잘 일어납니다. 빙하는 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물은 푸른색의 빛을 가장 잘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태양빛이 빙하를 통과할 때 푸른색의 빛이 가장 많이 산란되어 우리의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힌의 색이 푸른것 바다가 푸르게 보여서이죠.

    이는 빛의 반사에 따라 파랗게 보이는거지 실제 물은 무색의 투명한색이죠.


    감사합니다.